"경제는 경제…양국 경제장관회의 4월쯤 한국서 개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참석 차 중국 상하이를 방문한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7일 "한중 경제장관회의를 한국에서 조속히 개최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이날 동행기자단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지금 정치적으로 다른 목소리 나오고 있지만 그건 그거고 경제는 경제다. 한중 경제협력은 훨씬 더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문답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 중국과 흔들림 없이 경제 분야에서 협력해 나가기로 했는데, 어느 쪽이 먼저이 얘기를 했나.
▲ 선후를 따지기 어렵다. 러우지웨이(樓繼偉) 재정부장(재무장관)은 지정학적인 문제가 있을지 모르나 (한중간) 경제적인 협력관계는 훨씬 더 강화해야 한다고얘기했고, 저도 동의했다. 지금 정치적으로 다른 목소리 나오고 있지만 그건 그거고경제는 경제다. 한중 경제협력이 훨씬 더 강화될 거라는 게 우리 두 사람이 공유한메시지였다.
-- 앞으로 한중 경제장관회의 일정은.
▲ 올해는 중국이 우리나라 오기로 돼 있다. 조속히 하기로 했다. 4월쯤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시간을 잘 맞추기가 어렵다.
-- 중국이 사드 논의에 대해 비관세 장벽으로 보복할 가능성은.
▲ 그럴 것 같지 않다. 제이컵 루 미국 재무장관도 대북제재에 중국의 동참이굉장히 중요한데 잘 된 거 같다고 하더라. 사드 얘기는 쏙 들어갔다. 협조 분위기가된 상황에서 중국이 굳이 비관세장벽으로 한국의 뒤통수를 칠 것 같지 않다.
-- G20 회의에서 위안화 등 환율 논란에 대한 논의는 진전이 없었던 것 같다.
▲ 위안화가 갑자기 춤을 출지 예상을 못한 상황이었다. 한두 달 상황을 보고대책을 논의했어도 분명한 답이 안 나왔을 것이다.
-- 국제사회에서 중국이 위안화 환율을 조작한다는 의심이 있는데.
▲ 그렇게 (조작이라고 할 만큼) 개입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닌 것 같다. 중국은환율이 자유변동제가 아니라서 컨트롤 할 수 있다. 우리와는 다르다.
-- 현재 원/달러 환율은 균형환율이나 적정환율에서 많이 벗어났다고 보나.
▲ 시장에서 정하는 게 균형환율이다. 환율이 올라가는 건 이유가 있을 것이다.
펀더멘털에 따라 움직인다고 봐야 한다. 올라가는 추세가 언제 끝날지 살펴볼 거다.
-- 한국이 환율시장에 인위적으로 개입한다는 의심도 있는데.
▲ 지금 그렇게 안 한다. 갑자기 환율이 크게 움직일 때 스무딩 오퍼레이션(미미세조정)을 한다. 국제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다.
-- G20 가운데 재정정책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국가가 있다던데.
▲ 우리도 그렇지만 독일도 부채비율이 높다. 우리보다 높다. 국가 부채 비율높으면 일본처럼 문제가 될 수 있다. 다들 '재정정책 여력이 없다'는 식이다. 한국은 여력이 있지 않느냐는 지적이 있었는데, 나는 건전재정론자로서 선뜻 동의하기어려웠다. 추경 등을 하려면 법이 통과돼야 하는데 어렵다고 설명했다.
-- 한국은 G20에서 마이너스 금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는데.
▲ 꼭 일본만 찍어서 얘기한 것은 아니다. 일본은 금리가 환율을 겨냥한 것이아니고 물가상승 목표 등 실물경제를 위해 부득이했다고 강조했다.
-- 이번 회의에 함께 참석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대화를 많이 했나.
▲ 많이 못 했다. 한국에서도 따로 보기 쉽지 않다. 그런 얘기가 나오면 굉장히오해를 불러일으킨다.
-- 미국 재무장관 면담에서 대북제재 얘기가 많았나.
▲ 그쪽에서 먼저 물어왔다. 대북제재가 상당히 효과적으로 된 거 같다고 했다.
불확실성이 제거됐다는 데 동의했다. 이번 제재를 계기로 북한이 이란만큼만 해주면원이 없겠다고 말했다.
-- 한미 통화스와프 재개 문제는.
▲ 제이컵 루 재무장관과의 면담에서는 얘기 안 했다. 언젠가는 할 필요가 있다. 안정성 등에서 의미가 있다. 길게 봐서 (시장을) 안정시키는 순기능이 있다. 반대할 이유가 없다. 그러나 다급하다는 인상을 주면 안 된다. 시장에 잘못된 시그널을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필요한 시점이 되면 하자고 할 용의가 있다.
-- G20이 경기부양을 위해 통화·재정정책, 구조개혁을 총동원하자고 하는데 한국 입장은 어떤가.
▲ 통화정책은 한국은행이 한다. 재정정책은 조기집행 등에 국한하려고 한다.
대규모 확장적 예산을 쓰려면 대규모 추경을 해야 하는데, 지금 쓸 수 있는 게 아니다. 한계가 있다. 결국 구조개혁으로 가야 한다.
-- 정부 성장률 전망치 3.1% 달성 여전히 가능한가.
▲ 1월에 수출이 18.5% 감소한 것과 중국 시장이 나빠진 것은 마이너스 요인이지만 정부의 재정 조기집행과 소비진작책, 이란 경제제재 해제는 플러스 요인이다.
아직은 플러스와 마이너스 요인이 똑같다고 본다.
-- 과잉업종 구조개혁 추진은.
▲ 임팩트가 큰 주요 산업은 협의체 비슷한 것을 만들려고 한다. 어느 시점 이상 한없이 기다릴 수 없다는 시그널을 줄 것이다. 정리할 건 정리해야 한다. 어느시점 넘어가면 국민 부담이 크다는 컨센서스(합의)가 잡혀가고 있다. 길지 않은 장래에 (구조조정안을) 말씀드리도록 하겠다. 대상업체에 말할 계획이다.
-- 구조조정 충격에 대한 우려도 있다.
▲ 하방 리스크다. 고민이다. 제일 큰 게 고용문제다.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 녹색기후기금(GCF)을 한국에 유치해 놓고 잘 활용을 못 하는 것 같은데.
▲ GCF 거버넌스 구조가 조금 묘하게 돼 있다. 한국 정부가 주도권을 잡게 돼있지 않더라. 김용 세계은행(WB) 총재와도 이야기를 했다. 거버넌스는 손을 봐야 한다. 지금이라도 따져봐야겠다고 생각이 든다.
d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참석 차 중국 상하이를 방문한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7일 "한중 경제장관회의를 한국에서 조속히 개최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이날 동행기자단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지금 정치적으로 다른 목소리 나오고 있지만 그건 그거고 경제는 경제다. 한중 경제협력은 훨씬 더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문답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 중국과 흔들림 없이 경제 분야에서 협력해 나가기로 했는데, 어느 쪽이 먼저이 얘기를 했나.
▲ 선후를 따지기 어렵다. 러우지웨이(樓繼偉) 재정부장(재무장관)은 지정학적인 문제가 있을지 모르나 (한중간) 경제적인 협력관계는 훨씬 더 강화해야 한다고얘기했고, 저도 동의했다. 지금 정치적으로 다른 목소리 나오고 있지만 그건 그거고경제는 경제다. 한중 경제협력이 훨씬 더 강화될 거라는 게 우리 두 사람이 공유한메시지였다.
-- 앞으로 한중 경제장관회의 일정은.
▲ 올해는 중국이 우리나라 오기로 돼 있다. 조속히 하기로 했다. 4월쯤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시간을 잘 맞추기가 어렵다.
-- 중국이 사드 논의에 대해 비관세 장벽으로 보복할 가능성은.
▲ 그럴 것 같지 않다. 제이컵 루 미국 재무장관도 대북제재에 중국의 동참이굉장히 중요한데 잘 된 거 같다고 하더라. 사드 얘기는 쏙 들어갔다. 협조 분위기가된 상황에서 중국이 굳이 비관세장벽으로 한국의 뒤통수를 칠 것 같지 않다.
-- G20 회의에서 위안화 등 환율 논란에 대한 논의는 진전이 없었던 것 같다.
▲ 위안화가 갑자기 춤을 출지 예상을 못한 상황이었다. 한두 달 상황을 보고대책을 논의했어도 분명한 답이 안 나왔을 것이다.
-- 국제사회에서 중국이 위안화 환율을 조작한다는 의심이 있는데.
▲ 그렇게 (조작이라고 할 만큼) 개입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닌 것 같다. 중국은환율이 자유변동제가 아니라서 컨트롤 할 수 있다. 우리와는 다르다.
-- 현재 원/달러 환율은 균형환율이나 적정환율에서 많이 벗어났다고 보나.
▲ 시장에서 정하는 게 균형환율이다. 환율이 올라가는 건 이유가 있을 것이다.
펀더멘털에 따라 움직인다고 봐야 한다. 올라가는 추세가 언제 끝날지 살펴볼 거다.
-- 한국이 환율시장에 인위적으로 개입한다는 의심도 있는데.
▲ 지금 그렇게 안 한다. 갑자기 환율이 크게 움직일 때 스무딩 오퍼레이션(미미세조정)을 한다. 국제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다.
-- G20 가운데 재정정책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국가가 있다던데.
▲ 우리도 그렇지만 독일도 부채비율이 높다. 우리보다 높다. 국가 부채 비율높으면 일본처럼 문제가 될 수 있다. 다들 '재정정책 여력이 없다'는 식이다. 한국은 여력이 있지 않느냐는 지적이 있었는데, 나는 건전재정론자로서 선뜻 동의하기어려웠다. 추경 등을 하려면 법이 통과돼야 하는데 어렵다고 설명했다.
-- 한국은 G20에서 마이너스 금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는데.
▲ 꼭 일본만 찍어서 얘기한 것은 아니다. 일본은 금리가 환율을 겨냥한 것이아니고 물가상승 목표 등 실물경제를 위해 부득이했다고 강조했다.
-- 이번 회의에 함께 참석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대화를 많이 했나.
▲ 많이 못 했다. 한국에서도 따로 보기 쉽지 않다. 그런 얘기가 나오면 굉장히오해를 불러일으킨다.
-- 미국 재무장관 면담에서 대북제재 얘기가 많았나.
▲ 그쪽에서 먼저 물어왔다. 대북제재가 상당히 효과적으로 된 거 같다고 했다.
불확실성이 제거됐다는 데 동의했다. 이번 제재를 계기로 북한이 이란만큼만 해주면원이 없겠다고 말했다.
-- 한미 통화스와프 재개 문제는.
▲ 제이컵 루 재무장관과의 면담에서는 얘기 안 했다. 언젠가는 할 필요가 있다. 안정성 등에서 의미가 있다. 길게 봐서 (시장을) 안정시키는 순기능이 있다. 반대할 이유가 없다. 그러나 다급하다는 인상을 주면 안 된다. 시장에 잘못된 시그널을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필요한 시점이 되면 하자고 할 용의가 있다.
-- G20이 경기부양을 위해 통화·재정정책, 구조개혁을 총동원하자고 하는데 한국 입장은 어떤가.
▲ 통화정책은 한국은행이 한다. 재정정책은 조기집행 등에 국한하려고 한다.
대규모 확장적 예산을 쓰려면 대규모 추경을 해야 하는데, 지금 쓸 수 있는 게 아니다. 한계가 있다. 결국 구조개혁으로 가야 한다.
-- 정부 성장률 전망치 3.1% 달성 여전히 가능한가.
▲ 1월에 수출이 18.5% 감소한 것과 중국 시장이 나빠진 것은 마이너스 요인이지만 정부의 재정 조기집행과 소비진작책, 이란 경제제재 해제는 플러스 요인이다.
아직은 플러스와 마이너스 요인이 똑같다고 본다.
-- 과잉업종 구조개혁 추진은.
▲ 임팩트가 큰 주요 산업은 협의체 비슷한 것을 만들려고 한다. 어느 시점 이상 한없이 기다릴 수 없다는 시그널을 줄 것이다. 정리할 건 정리해야 한다. 어느시점 넘어가면 국민 부담이 크다는 컨센서스(합의)가 잡혀가고 있다. 길지 않은 장래에 (구조조정안을) 말씀드리도록 하겠다. 대상업체에 말할 계획이다.
-- 구조조정 충격에 대한 우려도 있다.
▲ 하방 리스크다. 고민이다. 제일 큰 게 고용문제다.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 녹색기후기금(GCF)을 한국에 유치해 놓고 잘 활용을 못 하는 것 같은데.
▲ GCF 거버넌스 구조가 조금 묘하게 돼 있다. 한국 정부가 주도권을 잡게 돼있지 않더라. 김용 세계은행(WB) 총재와도 이야기를 했다. 거버넌스는 손을 봐야 한다. 지금이라도 따져봐야겠다고 생각이 든다.
d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