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취업자 비중 40% '코앞'
50대 이상 취업자가 1천만명을 돌파했다. 전체취업자 대비 비중도 40% 문턱까지 상승했다.
은퇴 시기에 다다르거나 은퇴기가 지나고도 노후 준비를 위해 일터에 머무는 중년·고령층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50대 이상 취업자는 1년 전보다 27만2천명 늘어난 1천8만1천명을 기록했다. 분기 기준으로 50대 이상 취업자가 1천만명을 넘은것은 처음이다.
올해 3분기에도 50대 이상 취업자는 32만5천명 증가한 1천21만1천명으로 1천만명대를 유지했다.
그간 50대 이상 취업자는 꾸준히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10년 전인 2006년 2분기만 해도 649만4천명, 3분기 649만3천명이던 50대 이상취업자는 2008년 2분기(709만2천명)에 분기 기준으로 700만명, 2011년 2분기(818만3천명)엔 800만명을 각각 처음으로 돌파했다.
2013년 2분기엔 910만3천명으로 900만명을 넘어서더니 3년 만에 1천만 명대를찍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50대 취업자가 2006년 3분기 388만9천명에서 올 3분기 612만6천명으로 223만7천명(57.5%) 늘었고 60대 이상은 260만4천명에서 408만5천명으로 148만1천명(56.9%) 늘었다.
취업자 증가 속도가 빠르다 보니 전체 취업자에서 5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도가파르게 늘고 있다.
50대 이상 취업자는 올해 3분기 38.5%를 차지했다.
10년 전인 2006년 3분기(27.9%)보다 10%포인트 이상 확대됐다.
50대 이상 취업자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것은 이 연령대 인구가 늘어나고 있어서다.
한국전쟁 후 형성된 베이비붐(1955∼1963년생) 세대도 이 연령대에 해당한다.
9월 기준으로 볼 때 50대 인구는 820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3천명, 60세 이상은 996만9천명으로 47만5천명 늘었다.
인구가 감소한 30대(-8만8천명), 40대(-5만6천명)와는 대조적이다.
여기에 고령화로 기대여명이 길어진 중년·고령층이 노후를 위해 일터를 떠나지못한 탓이기도 하다.
박윤수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특히 이번 정부 들어 2013년 하반기부터 2014년 상반기 전체 취업자 수가 빠르게 늘었는데, 그때부터 주로 증가한 연령대가 고령층이었다"며 "베이비부머들이 은퇴 준비를 하지 못하다 보니 50대 이상이 돼도 노동시장에 잔류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중년·고령층의 경우 은퇴 후 생계를 위해 일자리를 찾는 경우가 많은만큼 일자리 질이 나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연령대별로 할 수 있는 일자리, 직업군을많이 만들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노동연구원도 최근 한 보고서에서 "노후 생계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가 부족했던 현 고령층 대부분은 자발적이든 아니면 생계를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든 질이 낮은 일자리라도 얻어 노동시장에 머무르고자 한다"며 "고령층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언한 바 있다.
porqu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50대 이상 취업자가 1천만명을 돌파했다. 전체취업자 대비 비중도 40% 문턱까지 상승했다.
은퇴 시기에 다다르거나 은퇴기가 지나고도 노후 준비를 위해 일터에 머무는 중년·고령층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50대 이상 취업자는 1년 전보다 27만2천명 늘어난 1천8만1천명을 기록했다. 분기 기준으로 50대 이상 취업자가 1천만명을 넘은것은 처음이다.
올해 3분기에도 50대 이상 취업자는 32만5천명 증가한 1천21만1천명으로 1천만명대를 유지했다.
그간 50대 이상 취업자는 꾸준히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10년 전인 2006년 2분기만 해도 649만4천명, 3분기 649만3천명이던 50대 이상취업자는 2008년 2분기(709만2천명)에 분기 기준으로 700만명, 2011년 2분기(818만3천명)엔 800만명을 각각 처음으로 돌파했다.
2013년 2분기엔 910만3천명으로 900만명을 넘어서더니 3년 만에 1천만 명대를찍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50대 취업자가 2006년 3분기 388만9천명에서 올 3분기 612만6천명으로 223만7천명(57.5%) 늘었고 60대 이상은 260만4천명에서 408만5천명으로 148만1천명(56.9%) 늘었다.
취업자 증가 속도가 빠르다 보니 전체 취업자에서 5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도가파르게 늘고 있다.
50대 이상 취업자는 올해 3분기 38.5%를 차지했다.
10년 전인 2006년 3분기(27.9%)보다 10%포인트 이상 확대됐다.
50대 이상 취업자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것은 이 연령대 인구가 늘어나고 있어서다.
한국전쟁 후 형성된 베이비붐(1955∼1963년생) 세대도 이 연령대에 해당한다.
9월 기준으로 볼 때 50대 인구는 820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3천명, 60세 이상은 996만9천명으로 47만5천명 늘었다.
인구가 감소한 30대(-8만8천명), 40대(-5만6천명)와는 대조적이다.
여기에 고령화로 기대여명이 길어진 중년·고령층이 노후를 위해 일터를 떠나지못한 탓이기도 하다.
박윤수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특히 이번 정부 들어 2013년 하반기부터 2014년 상반기 전체 취업자 수가 빠르게 늘었는데, 그때부터 주로 증가한 연령대가 고령층이었다"며 "베이비부머들이 은퇴 준비를 하지 못하다 보니 50대 이상이 돼도 노동시장에 잔류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중년·고령층의 경우 은퇴 후 생계를 위해 일자리를 찾는 경우가 많은만큼 일자리 질이 나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연령대별로 할 수 있는 일자리, 직업군을많이 만들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노동연구원도 최근 한 보고서에서 "노후 생계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가 부족했던 현 고령층 대부분은 자발적이든 아니면 생계를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든 질이 낮은 일자리라도 얻어 노동시장에 머무르고자 한다"며 "고령층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언한 바 있다.
porqu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