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잇시티·용산개발 자금난에 '빈사'상암 랜드마크빌딩은 사업 무산으로 소송 가능성
불황 장기화로 이른바 '단군 이래최대 규모'의 개발 사업들이 잇따라 좌초하고 있다.
서울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랜드마크 빌딩 건립 사업은 작년 6월 사실상 무산됐다. 인천경제자유구역 영종지구의 용유·무의도 개발 사업과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도 최근 자금난에 빠져 중단 위기에 처했다.
이처럼 대규모 개발 사업들이 정상궤도를 이탈하면서 오랜 기간 재산권 행사를하지 못한 해당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커지고 시행사와 지자체간 갈등이 불거지는 등후유증도 커지고 있다.
◇에잇시티·용산개발, 자금난에 '무산위기' = 13일 서울·인천시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10년 넘게 추진된 인천 용유·무의도 개발 사업(에잇시티 사업)과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나란히 심각한 자금난으로 빈사상태에 빠졌다.
에잇시티 사업은 용유·무의도 지역 79.5㎢에 2030년까지 317조원을 들여 문화·관광·레저 복합도시를 만드는 것으로 규모는 여의도의 28배에 달하고 투자금도정부 1년 예산에 맞먹어 단군 이래 최대 사업으로 불리고 있다.
그러나 사업 시행 예정자로 선정된 ㈜에잇시티가 작년 10월 말 인천시와 협약을맺은 뒤 투자금을 한 푼도 끌어오지 못해 자금난에 봉착했다.
사업 추진이 부진하자 당장 3천여명의 토지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최근인천시에 사업 진행 상황을 묻는 토지주들의 전화가 하루에 수십 통씩 걸려오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 10일 회의를 열어 토지주 대표들과 사업 추진 방안을 논의했지만별다른 해법을 찾지 못했다.
토지주들은 회의에서 "10년 넘은 사업이 막바지 단계에 왔는데 시가 사업예정자의 보증 요구를 외면해 사업이 취소될 처지"라며 인천시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에잇시티의 자금 선투자 이행과 토지보상금(6조8천억원) 마련가능성 등을 고려해 최대한 지원하겠다"는 입장만 밝혔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도 자금난과 출자자 간 갈등으로 부도 위기를 맞고있다.
2006년 정부종합대책으로 확정된 이 사업은 용산 철도정비창과 서부이촌동 일대56만6천여㎡ 땅을 재개발하는 것으로 31조원을 투입해 111층 랜드마크 타워와 호텔등 60여개동을 짓는 초대형 프로젝트이다.
그러나 사업 출자사들이 세운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의 잔고가 현재 50억원에 불과해 이달 17일 자산유동화증권(ABS) 이자 47억원을 내면 바닥이 난다.
드림허브 측은 자산유동화기업어음(APCP) 이자 53억원을 내야 하는 오는 3월12일께 부도위기에 직면할 상황이지만 1·2대 주주들이 사업 추진 방향과 추진 주체등을 놓고 충돌하면서 추가 자금 조달에 나서지 않고 있다.
이처럼 사업이 차질을 빚자 출자자들은 손실 가능성에 전전긍긍하고 있고 5년동안 집을 팔지 못한 서부이촌동 주민들도 속앓이를 하고 있다.
한 출자자는 "용산사업 출자자들은 대다수 기업과 펀드여서 사업이 중단되면 바로 투자 손실로 이어진다"며 "자금력이 있는 일부 출자자가 추가 자금을 우선 지원해 사업부터 재개하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상암 랜드마크빌딩 무산, 서울시-시행사 소송 가나 = DMC에 133층 랜드마크빌딩을 건립하는 프로젝트는 이미 지난해 6월 사업이 취소됐다. 이후 서울시와 시행사 간 갈등이 심화해 소송 가능성이 커지는 등 후유증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랜드마크 빌딩 건립사업은 2009년 4월 용지 매매계약 이후 3년여간 추진됐지만용지를 공급받은 서울라이트타워㈜ 측이 장기간 토지 대금을 미납하는 등 계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해 중단됐다.
현재 시와 서울라이트타워 측은 위약금 규모를 놓고 갈등을 겪고 있다.
서울라이트타워 측은 360억원만 위약금으로 물면 된다는 입장인 반면 시는 잔금이자도 포함해 50억~60억원을 더 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시와 서울라이트타워 측 모두 아직 소송을 제기하지 않았지만 원만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소송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위약금 등을 정리하는 부분을 놓고 논의하고 있다"며 "협의가안 된다면 사법적 판단을 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사업 재개 시점도 불투명하다. 국내외 경기침체와 건설경기 부진 등으로 대규모건립 사업 추진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부지를 랜드마크로 하겠다는 기본 방향은 변함 없다"며 "다만경제여건 등 변화된 상황을 고려해 내부 검토를 충분히 거친 뒤 재추진할 것"이라고설명했다.
전문가들과 사업 참여자들은 이들 사업이 무산 또는 부진해진 것은 글로벌 경기불황과 부동산경기 침체, 준비 부족 등이 맞물렸기 때문이라며 후유증 최소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국내외 경기상황이 달라졌지만 투자자들과 시, 시행사 등이 장기사업 추진 방향에 대한 확신과 준비 없이 사업에 뛰어든 것이 잘못"이라며 "사업을장기간 끌어오면서 기회비용과 금전적인 부분에서 손실이 발생하는 등 후유증만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indigo@yna.co.kr erik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불황 장기화로 이른바 '단군 이래최대 규모'의 개발 사업들이 잇따라 좌초하고 있다.
서울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랜드마크 빌딩 건립 사업은 작년 6월 사실상 무산됐다. 인천경제자유구역 영종지구의 용유·무의도 개발 사업과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도 최근 자금난에 빠져 중단 위기에 처했다.
이처럼 대규모 개발 사업들이 정상궤도를 이탈하면서 오랜 기간 재산권 행사를하지 못한 해당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커지고 시행사와 지자체간 갈등이 불거지는 등후유증도 커지고 있다.
◇에잇시티·용산개발, 자금난에 '무산위기' = 13일 서울·인천시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10년 넘게 추진된 인천 용유·무의도 개발 사업(에잇시티 사업)과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나란히 심각한 자금난으로 빈사상태에 빠졌다.
에잇시티 사업은 용유·무의도 지역 79.5㎢에 2030년까지 317조원을 들여 문화·관광·레저 복합도시를 만드는 것으로 규모는 여의도의 28배에 달하고 투자금도정부 1년 예산에 맞먹어 단군 이래 최대 사업으로 불리고 있다.
그러나 사업 시행 예정자로 선정된 ㈜에잇시티가 작년 10월 말 인천시와 협약을맺은 뒤 투자금을 한 푼도 끌어오지 못해 자금난에 봉착했다.
사업 추진이 부진하자 당장 3천여명의 토지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최근인천시에 사업 진행 상황을 묻는 토지주들의 전화가 하루에 수십 통씩 걸려오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 10일 회의를 열어 토지주 대표들과 사업 추진 방안을 논의했지만별다른 해법을 찾지 못했다.
토지주들은 회의에서 "10년 넘은 사업이 막바지 단계에 왔는데 시가 사업예정자의 보증 요구를 외면해 사업이 취소될 처지"라며 인천시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에잇시티의 자금 선투자 이행과 토지보상금(6조8천억원) 마련가능성 등을 고려해 최대한 지원하겠다"는 입장만 밝혔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도 자금난과 출자자 간 갈등으로 부도 위기를 맞고있다.
2006년 정부종합대책으로 확정된 이 사업은 용산 철도정비창과 서부이촌동 일대56만6천여㎡ 땅을 재개발하는 것으로 31조원을 투입해 111층 랜드마크 타워와 호텔등 60여개동을 짓는 초대형 프로젝트이다.
그러나 사업 출자사들이 세운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의 잔고가 현재 50억원에 불과해 이달 17일 자산유동화증권(ABS) 이자 47억원을 내면 바닥이 난다.
드림허브 측은 자산유동화기업어음(APCP) 이자 53억원을 내야 하는 오는 3월12일께 부도위기에 직면할 상황이지만 1·2대 주주들이 사업 추진 방향과 추진 주체등을 놓고 충돌하면서 추가 자금 조달에 나서지 않고 있다.
이처럼 사업이 차질을 빚자 출자자들은 손실 가능성에 전전긍긍하고 있고 5년동안 집을 팔지 못한 서부이촌동 주민들도 속앓이를 하고 있다.
한 출자자는 "용산사업 출자자들은 대다수 기업과 펀드여서 사업이 중단되면 바로 투자 손실로 이어진다"며 "자금력이 있는 일부 출자자가 추가 자금을 우선 지원해 사업부터 재개하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상암 랜드마크빌딩 무산, 서울시-시행사 소송 가나 = DMC에 133층 랜드마크빌딩을 건립하는 프로젝트는 이미 지난해 6월 사업이 취소됐다. 이후 서울시와 시행사 간 갈등이 심화해 소송 가능성이 커지는 등 후유증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랜드마크 빌딩 건립사업은 2009년 4월 용지 매매계약 이후 3년여간 추진됐지만용지를 공급받은 서울라이트타워㈜ 측이 장기간 토지 대금을 미납하는 등 계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해 중단됐다.
현재 시와 서울라이트타워 측은 위약금 규모를 놓고 갈등을 겪고 있다.
서울라이트타워 측은 360억원만 위약금으로 물면 된다는 입장인 반면 시는 잔금이자도 포함해 50억~60억원을 더 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시와 서울라이트타워 측 모두 아직 소송을 제기하지 않았지만 원만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소송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위약금 등을 정리하는 부분을 놓고 논의하고 있다"며 "협의가안 된다면 사법적 판단을 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사업 재개 시점도 불투명하다. 국내외 경기침체와 건설경기 부진 등으로 대규모건립 사업 추진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부지를 랜드마크로 하겠다는 기본 방향은 변함 없다"며 "다만경제여건 등 변화된 상황을 고려해 내부 검토를 충분히 거친 뒤 재추진할 것"이라고설명했다.
전문가들과 사업 참여자들은 이들 사업이 무산 또는 부진해진 것은 글로벌 경기불황과 부동산경기 침체, 준비 부족 등이 맞물렸기 때문이라며 후유증 최소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국내외 경기상황이 달라졌지만 투자자들과 시, 시행사 등이 장기사업 추진 방향에 대한 확신과 준비 없이 사업에 뛰어든 것이 잘못"이라며 "사업을장기간 끌어오면서 기회비용과 금전적인 부분에서 손실이 발생하는 등 후유증만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indigo@yna.co.kr erik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