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FTA 1차 협상 개막에 따라 역할 주목
통상·교섭 업무가 외교통상부(현 외교부)에서산업통상자원부(옛 지식경제부)로 이관됨에 따라 외교관 신분을 포기한 공무원이 17명인 것으로 26일 파악됐다.
이날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1차 협상 개막과 더불어 이직한 이들의 역할이 주목된다.
정부 관계자는 외무 공무원 17명이 사직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일반직 공무원 채용 형식으로 이직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로 근무지를 옮긴 외무 공무원 중 23명은 파견 형식을 택했다. 이들은 본래 소속이 유지되므로 원칙적으로 2년 후 외교부로 복귀한다.
외무 공무원 과반을 파견 형식으로 보낸 것은 이직 희망자가 적었기 때문으로여겨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통상·교섭 업무를 외교부에서 넘겨받음에 따라 정원이 94명증가했다고 밝혔다.
파견자를 포함해 79명만 외교부에서 산업통상자원부로 근무지를 옮겼다고 덧붙였다.
이중 복귀가 예정된 23명과 외교관직을 버리고 이직한 17여 명을 뺀 나머지(39명)는 외교통상부에 근무하던 일반직 공무원인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15명)는 옛 지식경제부 소속 인력이나 신규 채용 등으로 채울 것으로 추정된다.
통상·교섭 업무의 이관에도 업무의 차질이 있으면 안 된다는 점에서 전문 인력을 충분히 확보했는지와 빈자리를 어떻게 채울지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인사에 관한 비밀이라며 구체적인 인적 구성에 대한 확인을거부했다.
sewonle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통상·교섭 업무가 외교통상부(현 외교부)에서산업통상자원부(옛 지식경제부)로 이관됨에 따라 외교관 신분을 포기한 공무원이 17명인 것으로 26일 파악됐다.
이날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1차 협상 개막과 더불어 이직한 이들의 역할이 주목된다.
정부 관계자는 외무 공무원 17명이 사직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일반직 공무원 채용 형식으로 이직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로 근무지를 옮긴 외무 공무원 중 23명은 파견 형식을 택했다. 이들은 본래 소속이 유지되므로 원칙적으로 2년 후 외교부로 복귀한다.
외무 공무원 과반을 파견 형식으로 보낸 것은 이직 희망자가 적었기 때문으로여겨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통상·교섭 업무를 외교부에서 넘겨받음에 따라 정원이 94명증가했다고 밝혔다.
파견자를 포함해 79명만 외교부에서 산업통상자원부로 근무지를 옮겼다고 덧붙였다.
이중 복귀가 예정된 23명과 외교관직을 버리고 이직한 17여 명을 뺀 나머지(39명)는 외교통상부에 근무하던 일반직 공무원인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15명)는 옛 지식경제부 소속 인력이나 신규 채용 등으로 채울 것으로 추정된다.
통상·교섭 업무의 이관에도 업무의 차질이 있으면 안 된다는 점에서 전문 인력을 충분히 확보했는지와 빈자리를 어떻게 채울지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인사에 관한 비밀이라며 구체적인 인적 구성에 대한 확인을거부했다.
sewonle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