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기업 '구조조정 공포'…당국 손발안맞아 비난도>

입력 2013-07-10 17:32  

건설·조선·해운업 어떤 기업이 구조조정되나 '촉각'

장기 불황에 시달리는 이른바 천덕꾸러기 업종인 건설과 조선, 해운 등 3대 업종이 구조조정 직격탄을 맞았다.

건설과 조선, 해운사들은 이번 구조조정 소식을 접하고 어느 기업들이 '명단'에올랐는지 촉각을 곤두세우며 화들짝 놀라는 모습이었으나 대형 기업이 없는 것으로알려지자 가슴을 쓸어내렸다.

오히려 이들 기업은 정부 당국이 불황 기업 지원을 위해 회사채 신속인수제도를추진한다고 한 지 이틀만에 시장 심리에 악영향을 미치는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하는등 냉·온탕을 오가고 있다고 비난했다.

◇ 천덕꾸러기 업종, 또 구조조정에 시름 금융감독원이 10일 발표한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대상에는 건설 14개사, 조선·해운 2개사, 철강·석유화학 1개사 등 27개사가 선정됐다.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나 자체 정상화 또는 파산 절차를 밟아야 하는 D등급 기업으로 건설 6개사, 조선·해운 1개사, 철강·석유화학 1개사 등 13개사가 포함됐다.

다만, 구조조정 대상 기업 중 대형 건설과 조선, 해운사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업계는 모두 시행사인 것으로 확인됐다.

건설·해운·조선업종 기업들은 살릴 곳은 살리고 구조조정을 할 곳은 확실하게해야 한다는 입장이면서도 이름이 알려진 대형 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데 대해 안도했다.

양홍근 한국선주협회 상무는 "여전히 어렵지만 대다수 해운사는 불황에 치일 때로 치여 자산매각 등 어느 정도 자체 구조조정을 끝냈다고 보면 된다"며 "구조조정대상 해운사가 별로 없어 오히려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까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대형 조선사의 한 관계자는 "당국과 채권단이 부실기업에 대해선 옥석을 구별해 구조조정할 곳은 신속하게 추진하고 살릴 곳은 확실히 살려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장기 불황 속에 버티는 기업들도 다수 있지만 2008년 말 이후 지금까지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해왔다는 입장이다.

건설사의 경우 2008년 말 기준 시공능력순위 100대 건설사 중 절반 가까이가 구조조정 등을 겪었다.

해운업계에선 90개 업체가 사라졌고 110개 소규모 업체가 새로 진입해 현재 179개사가 영업 중이다. 업계 5위권 내 대형 해운사 중에서 한진해운[117930](1위)과현대상선[011200](2위), SK해운(5위)은 자구 노력을 통해 견디고 있고 STX팬오션[028670]과 대한해운[005880]은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9개 회원 조선사 중에서 STX조선해양[067250]과 신아SB가 자율협약에 들어갔고 대선조선은 법정관리 중이다.

기업들은 오히려 이번 구조조정 대상에 대형 기업들이 포함된 것도 아닌데 주가와 회사채, 여신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우려했다.

◇ 금융당국 손발 안맞아 비난도…"근본적인 경기부양책 필요" 산업계 일각에선 또 정부 당국 간 정책이 오락가락해 어디에 장단을 맞춰야 할지 모르겠다는 비난도 나오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8일 회사채시장 정상화를 위해 6조4천억원을 투입해 부실기업의회사채를 인수해주겠다고 발표했다. 당시만 해도 이들 불황 업종 기업들은 정부가얼어붙은 회사채 시장을 녹여주고 장기 불황에 시달리는 기업들의 명줄도 이어주려는 의도로 해석했다. 그러나 이틀 후 금융감독원은 이들 불황 업종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방침을 공개했다.

한 건설사의 관계자는 "가뜩이나 업계가 힘든 상황인데 바로 엊그제 건설·조선·해운을 살리겠다고 회사채 신속인수제를 한다고 하더니 오늘은 구조조정을 하겠다고 하고 감사원은 담합 결과도 내놨다"며 "정부가 냉·온탕을 오가고 있으니 시장참여자들과 기업들만 헷갈릴 뿐"이라고 말했다.

해운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회사채 신속 인수제를 추진하겠다고 발표만 했을 뿐 결정된 것은 없다"며 "정부부처와 관련 기관 간 이견이 있어 언제 추진될지도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기업들은 정부가 일관성을 갖고 시장에 예측 가능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면서근본적으로는 경기 부양책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조선업계의 한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수주가 작년보다 60% 증가하는 등 조선경기가 바닥을 쳤지만, 본격 회복은 어려운 상황"이라며 "조선·해운은 천수답 사업이라 위기가 문제가 아니라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곳에 정부가 금융을 지원해주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형 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건설·부동산경기가 최악으로 치달은 지 5년이 넘었고 돈을 벌 길이 없어 단지 버티고 있다"며 "정부가 묘책은 내놓지 않고 때 되면구조조정으로 쳐내고 있으니 답답할 따름"이라고 하소연했다.

indigo@yna.co.kr eugenie@yna.co.kr (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