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562개 기업 대상 조사올해 임금인상률은 4.0%…2009년 이후 최저
1천명 이상 대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초임이 처음으로 월 300만원을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올해 임금협상이 타결된 기업의 평균 인상률은 4.0%로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이었다.
1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562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년 임금조정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4년제 대졸 신입사원의 초임(상여금 월할분 포함)은 월 265만9천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255만4천원)보다 4.1% 상승한 것이다.
초임은 기업 규모가 클수록 높았다. 100∼299인 기업이 233만9천원, 300∼499인은 257만원, 500∼999인은 268만2천원이었고, 1천인 이상 기업은 300만1천원으로 300만원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산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이 310만3천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운수·창고 및 통신업 277만9천원, 제조업 262만2천원, 도매 및 소매업 261만3천원, 건설업 257만6천원의 순이었다.
직급별 초임은 부장 585만4천원, 차장 501만2천원, 과장 435만1천원, 대리 356만7천원이었다.
학력별 초임은 대졸 265만9천원, 전문대졸 231만7천원, 고졸 생산직 217만4천원, 고졸 사무직 194만원이었다.
올해 임금협상이 타결된 기업들의 평균 인상률은 4.0%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5.1%)보다 1.1%포인트 하락한 것이며, 금융위기의 여파로 1.4%에 그쳤던 2009년 이후가장 낮은 수치다.
기업 규모별로는 1천인 이상 대기업(2012년 5.4%→2013년 3.6%)의 하락폭이 가장 컸고, 산업별로는 도매 및 소매업(5.3%→3.7%)과 금융 및 보험업(4.9%→2.6%)의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최근 저성장과 낮은 물가상승률은 임금교섭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됐다.
임금협상 과정에서 노조는 평균 7.9% 인상을 요구한 반면 사용자는 평균 2.8%를제시해 양자 간의 격차는 5.1%포인트였다. 이는 작년보다 0.7%포인트 하락한 수준이며 2009년 이후 가장 낮다.
임금교섭 타결을 위한 협상횟수는 평균 5.2회, 협상기간은 평균 1.9개월로 역시작년(5.7회, 2.2개월)보다 줄었다.
임금협상이 타결되지 않은 이유로는 '관행적으로 현 시점에서 미타결'(38.3%),'노동 관련 쟁점으로 인한 노사 간 입장차이'(31.3%) 등을 들었다.
특히 노동 쟁점으로 미타결된 기업 중 34.5%는 '정년 연장', 30.9%는 '통상임금범위 확대', 18.2%는 '근로시간 단축'이 쟁점이라고 대답했다.
올해 임금인상에 대해 83.3%는 적절하다고 답했으나 16.7%는 무리하게 인상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리하게 인상했다'는 응답비율은 1천인 이상 기업이 11.1%인 반면 100∼299인이상의 중소기업은 19.4%로 나타나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높았다.
sungj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1천명 이상 대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초임이 처음으로 월 300만원을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올해 임금협상이 타결된 기업의 평균 인상률은 4.0%로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이었다.
1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562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년 임금조정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4년제 대졸 신입사원의 초임(상여금 월할분 포함)은 월 265만9천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255만4천원)보다 4.1% 상승한 것이다.
초임은 기업 규모가 클수록 높았다. 100∼299인 기업이 233만9천원, 300∼499인은 257만원, 500∼999인은 268만2천원이었고, 1천인 이상 기업은 300만1천원으로 300만원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산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이 310만3천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운수·창고 및 통신업 277만9천원, 제조업 262만2천원, 도매 및 소매업 261만3천원, 건설업 257만6천원의 순이었다.
직급별 초임은 부장 585만4천원, 차장 501만2천원, 과장 435만1천원, 대리 356만7천원이었다.
학력별 초임은 대졸 265만9천원, 전문대졸 231만7천원, 고졸 생산직 217만4천원, 고졸 사무직 194만원이었다.
올해 임금협상이 타결된 기업들의 평균 인상률은 4.0%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5.1%)보다 1.1%포인트 하락한 것이며, 금융위기의 여파로 1.4%에 그쳤던 2009년 이후가장 낮은 수치다.
기업 규모별로는 1천인 이상 대기업(2012년 5.4%→2013년 3.6%)의 하락폭이 가장 컸고, 산업별로는 도매 및 소매업(5.3%→3.7%)과 금융 및 보험업(4.9%→2.6%)의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최근 저성장과 낮은 물가상승률은 임금교섭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됐다.
임금협상 과정에서 노조는 평균 7.9% 인상을 요구한 반면 사용자는 평균 2.8%를제시해 양자 간의 격차는 5.1%포인트였다. 이는 작년보다 0.7%포인트 하락한 수준이며 2009년 이후 가장 낮다.
임금교섭 타결을 위한 협상횟수는 평균 5.2회, 협상기간은 평균 1.9개월로 역시작년(5.7회, 2.2개월)보다 줄었다.
임금협상이 타결되지 않은 이유로는 '관행적으로 현 시점에서 미타결'(38.3%),'노동 관련 쟁점으로 인한 노사 간 입장차이'(31.3%) 등을 들었다.
특히 노동 쟁점으로 미타결된 기업 중 34.5%는 '정년 연장', 30.9%는 '통상임금범위 확대', 18.2%는 '근로시간 단축'이 쟁점이라고 대답했다.
올해 임금인상에 대해 83.3%는 적절하다고 답했으나 16.7%는 무리하게 인상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리하게 인상했다'는 응답비율은 1천인 이상 기업이 11.1%인 반면 100∼299인이상의 중소기업은 19.4%로 나타나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높았다.
sungj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