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10곳 중 8곳 가까이는 올해 노사관계가작년보다 더 불안해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주요 회원사 232곳을 대상으로 올해 노사관계 전망 조사를벌인 결과 응답 기업의 76.3%가 '작년보다 더 불안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작년에 실시된 동종의 조사에서 이듬해 노사관계가 불안해질 것으로 전망한 응답률(42.7%)보다 33.6% 포인트나 늘어난 수치다. 역대 조사와 비교하면 88%를기록한 2010년 이후로 가장 높다.
회원사들 중 올해 노사관계가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21.1%, '더 안정될 것'이라는 응답은 2.7%에 그쳤다.
이 같은 결과는 올해 통상임금 문제 등 노사관계 현안이 산적해 있는 데다 상당수 기업에서 임금교섭과 단체교섭이 동시에 진행되는 짝수해의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경총 측은 분석했다.
응답 기업들은 노사관계가 가장 불안한 분야로 '공공 및 공무원'(18.8%)을 가장많이 꼽았고 '대기업 및 공기업 협력업체'(16.4%)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노사관계가 불안할 것이라고 답한 기업들은 그 요인으로 '통상임금 범위 확대'(20.2%)를 지목한 경우가 많았고 '정년 연장 및 임금피크제 도입'(18.3%)이나 '근로시간 단축'(13.6%) 등이라고 답변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또 응답 기업의 57.9%가 노사관계 안정을 위한 정부의 해결 과제로 '노사관계법·제도의 합리적 개선'을 제안했고 '노사관계의 정치쟁점화 차단'(25.4%)이나 '산업현장 준법질서 확립'(8.8%) 등을 거론한 기업도 있었다.
올해 임금 단체협상의 핵심 이슈에 대해서는 '임금 인상'(36.6%)이 될 거라고답한 기업들이 가장 많았고 '통상임금 범위 확대'(13.4%)와 '정년 연장'(9.4%) 등도쟁점으로 전망됐다.
응답 기업의 47%는 임금 단체협상 소요 기간을 Ɖ∼4개월 정도'로 내다봤고 노조 측의 협상 요구 예상시점에 대해서는 Ƌ월 이후'(53.4%)라는 답변이 절반을 넘었다.
이밖에도 기업들의 61.4%는 노동계와 시민사회, 정치권의 연대 활성화 등을 이유로 들어 올해 6월 지방선거가 노사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응답했다.
prayerah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주요 회원사 232곳을 대상으로 올해 노사관계 전망 조사를벌인 결과 응답 기업의 76.3%가 '작년보다 더 불안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작년에 실시된 동종의 조사에서 이듬해 노사관계가 불안해질 것으로 전망한 응답률(42.7%)보다 33.6% 포인트나 늘어난 수치다. 역대 조사와 비교하면 88%를기록한 2010년 이후로 가장 높다.
회원사들 중 올해 노사관계가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21.1%, '더 안정될 것'이라는 응답은 2.7%에 그쳤다.
이 같은 결과는 올해 통상임금 문제 등 노사관계 현안이 산적해 있는 데다 상당수 기업에서 임금교섭과 단체교섭이 동시에 진행되는 짝수해의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경총 측은 분석했다.
응답 기업들은 노사관계가 가장 불안한 분야로 '공공 및 공무원'(18.8%)을 가장많이 꼽았고 '대기업 및 공기업 협력업체'(16.4%)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노사관계가 불안할 것이라고 답한 기업들은 그 요인으로 '통상임금 범위 확대'(20.2%)를 지목한 경우가 많았고 '정년 연장 및 임금피크제 도입'(18.3%)이나 '근로시간 단축'(13.6%) 등이라고 답변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또 응답 기업의 57.9%가 노사관계 안정을 위한 정부의 해결 과제로 '노사관계법·제도의 합리적 개선'을 제안했고 '노사관계의 정치쟁점화 차단'(25.4%)이나 '산업현장 준법질서 확립'(8.8%) 등을 거론한 기업도 있었다.
올해 임금 단체협상의 핵심 이슈에 대해서는 '임금 인상'(36.6%)이 될 거라고답한 기업들이 가장 많았고 '통상임금 범위 확대'(13.4%)와 '정년 연장'(9.4%) 등도쟁점으로 전망됐다.
응답 기업의 47%는 임금 단체협상 소요 기간을 Ɖ∼4개월 정도'로 내다봤고 노조 측의 협상 요구 예상시점에 대해서는 Ƌ월 이후'(53.4%)라는 답변이 절반을 넘었다.
이밖에도 기업들의 61.4%는 노동계와 시민사회, 정치권의 연대 활성화 등을 이유로 들어 올해 6월 지방선거가 노사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응답했다.
prayerah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