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M&A로 재계 9위 발돋움…김승연 회장 승부수

입력 2014-11-26 10:10  

한화그룹은 그동안 수많은 인수·합병(M&A)을통해 그룹의 덩치를 키워왔다. 모태는 1952년 현암 김종희 회장이 1952년 6·25 전쟁 당시 사업보국을 내세우며 설립한 한국화약이다.

1981년 김승연 2대 회장이 취임한 이후에는 M&A 속도가 한층 더 빨라지고 규모도 커졌다.

1982년에는 한양화학과 한국다우케미칼(현 한화케미칼)을 인수하면서 10대 그룹으로 발돋움했다.

김 회장은 제2차 석유파동으로 세계 화학경기가 크게 위축된 상황에서 임원들의반대를 무릅쓰고 이들 회사를 인수했다.

이를 계기로 1980년 7천300억 규모이던 한화그룹 매출은 1984년 2조1천500억원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했고, 지금의 한화케미칼[009830]은 한화그룹의 현금창출원역할을 하고 있다.

이후에도 정아그룹(1985년·현 한화H&R), 한양유통(1986년·한화갤러리아), 골든벨상사(1995년·㈜한화무역) 등을 잇달아 사들여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2000년대 들어서도 M&A 행보는 멈추지 않았다. 동양백화점(2000년·한화타임월드)과 대우전자 방산부문(2001년· ㈜한화[000880] 구미공장), 신동아화재해상보험(2002년· 한화손해보험) 등의 경영권을 차례로 인수하면서 몸집을 불려나갔다.

이 가운데 2002년 대한생명(현 한화생명) 인수는 M&A의 대표 성공사례로 꼽힌다.

한화그룹은 인수 당시 2조3천억원이었던 대한생명의 누적 손실을 6년 만인 2008년에 완전해소하고 연간 이익 5천억원을 창출했다. 보험업계 2위인 한화생명[088350]은 현재 한화그룹 전체 매출의 50%를 담당할 정도로 성장했다.

이외에도 2002년 63시티(한화 63시티) 인수에 이어 2007년에는 미국 자동차 부품·소재기업인 아즈델(AZDEL)을 품에 넣음으로써 자동차 부품·소재를 전 세계 자동차 업체에 공급하는 네트워크를 갖췄다.

2008년에는 제일화재해상보험(한화손해보험)과 새누리상호저축은행(한화저축은행)을 잇따라 사들였으며 2010년에는 푸르덴셜투자증권(한화투자증권과 합병)과 솔라원파워홀딩스(한화솔라원)를 인수했다.

2012년에는 당시 파산기업이었던 독일의 큐셀(한화큐셀)을 인수하면서 태양광투자를 본격화했다.

이런 과감한 M&A로 한화그룹은 석유화학과 금융, 레저 및 유통, 건설, 태양광에이르는 수많은 사업을 거느리게 됐다. 이번에 삼성그룹의 석유화학 및 방위산업 계열사까지 인수함으로써 재계 서열 9위로 올라서게 됐다.

물론 M&A 과정에서 부작용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2008년에는 조선업을 그룹의핵심축으로 만들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다는 비전을 세우고 대우조선해양[042660] 인수전에 뛰어들었으나 국제 금융위기 등이 겹치면서 허무하게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수많은 M&A는 김 회장 특유의 승부사 기질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김 회장은 2010년 검찰 수사 이후 사실상 경영일선에서 물러났지만, 이번 삼성계열사 인수전에도 김 회장이 막후에서 조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계 관계자는 "대규모 M&A인 만큼 김 회장의 재가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fusionjc@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