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경기실사지수 조사 결과…분양계획·실적 지수는 2012년 후 최고치
주택 매매거래의 증가와 분양 시장 활성화 등에힘입어 주택시장 경기에 대한 기대감이 이달 들어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올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3월 주택경기실사지수(HBSI)를 조사한 결과 주택시장 전반의동향을 나타내는 주택사업환경지수 전국 전망치가 전달보다 20.1포인트 오른 142.3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서울과 수도권에서 상승이 가팔랐다. 서울은 전달보다 24.7포인트 상승한 154.9, 수도권은 22.4포인트 오른 142.7로 집계됐다. 지방은 16.7포인트 올라 124.7이었다.
김지은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지난달까지만 해도 상승과 하락 중 방향성을 찾기 쉽지 않았던 주택사업환경지수가 이달에는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큰폭으로 상승함에 따라 상반기 주택시장 회복에 힘이 실리게 됐다"고 말했다.
주택사업환경지수는 2013년 11월 100을 넘어선 이후 상승·하락을 거듭하면서도완만한 상승세를 이어오는 중이다.
특히 이달의 지수는 2014년 3월 서울과 수도권이 각각 172.5, 150.2, 2014년 10월에는 166.7, 153.2를 기록한 뒤 세 번째로 높은 것이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이 154.9로 수치가 가장 높았고, 이어 경기가 150.7(22.7포인트 ↑), 경남이 138.8(17.0포인트 ↑), 부산이 136.6(15.7포인트 ↑), 인천이 134.8(22.1포인트 ↑)이었다.
17개 시·도 중 세종만 유일하게 하락해 117.1(3.4포인트 ↓)였다.
주택분양 시장이 활기를 띠면서 분양 관련 지수는 일제히 개선됐다.
분양계획지수는 21포인트 오른 141.6, 분양실적지수는 19.2포인트 상승한 144.7, 미분양지수는 15.7포인트 떨어진 52.9였다.
특히 분양계획지수와 분양실적지수는 2012년 7월 이 조사가 시작된 이후 최고치였다.
주택건설 수주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수들도 모조리 상승했다. 재개발지수는 9.3포인트 오른 105.3, 재건축지수는 7.5포인트 상승한 106.5, 공공택지지수는 16.1포인트 오른 128.4였다.
김 책임연구원은 "청약제도 개편과 분양가 상한제 폐지, 수도권 분양물량 집중,투자 수요 증가 등 분양시장의 호황은 적어도 상반기까지는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시장 호황과 분양물량 급증은 분양가격 상승과 미분양 물량 증가의 요인이 될 수 있고, 재고시장과 분양시장의 디커플링(탈동조화) 현상으로 분양시장의 호황이 주택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sisyph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주택 매매거래의 증가와 분양 시장 활성화 등에힘입어 주택시장 경기에 대한 기대감이 이달 들어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올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3월 주택경기실사지수(HBSI)를 조사한 결과 주택시장 전반의동향을 나타내는 주택사업환경지수 전국 전망치가 전달보다 20.1포인트 오른 142.3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서울과 수도권에서 상승이 가팔랐다. 서울은 전달보다 24.7포인트 상승한 154.9, 수도권은 22.4포인트 오른 142.7로 집계됐다. 지방은 16.7포인트 올라 124.7이었다.
김지은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지난달까지만 해도 상승과 하락 중 방향성을 찾기 쉽지 않았던 주택사업환경지수가 이달에는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큰폭으로 상승함에 따라 상반기 주택시장 회복에 힘이 실리게 됐다"고 말했다.
주택사업환경지수는 2013년 11월 100을 넘어선 이후 상승·하락을 거듭하면서도완만한 상승세를 이어오는 중이다.
특히 이달의 지수는 2014년 3월 서울과 수도권이 각각 172.5, 150.2, 2014년 10월에는 166.7, 153.2를 기록한 뒤 세 번째로 높은 것이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이 154.9로 수치가 가장 높았고, 이어 경기가 150.7(22.7포인트 ↑), 경남이 138.8(17.0포인트 ↑), 부산이 136.6(15.7포인트 ↑), 인천이 134.8(22.1포인트 ↑)이었다.
17개 시·도 중 세종만 유일하게 하락해 117.1(3.4포인트 ↓)였다.
주택분양 시장이 활기를 띠면서 분양 관련 지수는 일제히 개선됐다.
분양계획지수는 21포인트 오른 141.6, 분양실적지수는 19.2포인트 상승한 144.7, 미분양지수는 15.7포인트 떨어진 52.9였다.
특히 분양계획지수와 분양실적지수는 2012년 7월 이 조사가 시작된 이후 최고치였다.
주택건설 수주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수들도 모조리 상승했다. 재개발지수는 9.3포인트 오른 105.3, 재건축지수는 7.5포인트 상승한 106.5, 공공택지지수는 16.1포인트 오른 128.4였다.
김 책임연구원은 "청약제도 개편과 분양가 상한제 폐지, 수도권 분양물량 집중,투자 수요 증가 등 분양시장의 호황은 적어도 상반기까지는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시장 호황과 분양물량 급증은 분양가격 상승과 미분양 물량 증가의 요인이 될 수 있고, 재고시장과 분양시장의 디커플링(탈동조화) 현상으로 분양시장의 호황이 주택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sisyph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