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청년 고용 제약요인 인식' 실태조사
청년 고용을 제약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기업은'청년 눈높이'를 청년 구직자는 '기업의 노력 부족'을 꼽아 견해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계 및 전문가는 '산업구조 변화', 근로자는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을 청년실업의 주요인으로 지목했다.
26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의 '청년 고용 제약요인 인식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기업은 '청년 눈높이'(8.12점), '경기 침체'(7.85), '정년 60세 의무화'(7.69),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68),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49) 등 순으로 청년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높게 평가했다.
반면 청년 구직자는 '기업의 노력 부족'(7.72),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70), '경기 침체'(7.67), '정부 및 정치권 정책 실패'(7.38),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08) 등의 순으로 청년고용 제약 요인을 꼽아 기업과 상당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
근로자는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75) 문제를 1순위 요인으로 지적했으며'청년 눈높이'(7.74), '기업의 노력 부족'(7.45), '경기 침체'(7.33), '정부 및 정치권 정책 실패'(7.28) 순으로 응답했다.
학계는 '산업구조 변화'(7.39)와 '경기 침체'(7.34),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3),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28), '정년 60세 의무화'(7.2) 등 순으로 지적했다.
특별한 조치가 없으면 청년실업 문제가 어떻게 될 것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장단기적으로 악화할 것이라는 답변이 응답주체 모두 70% 이상이었다.
청년 실업을 해결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할 주체로는 정부(50.3%)와 기업(27.8%)이 꼽혔다. 특히 청년 구직자와 근로자는 정부의 지원책 마련과 함께 기업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했다.
시급히 추진돼야 할 과제로 기업과 학계 전문가가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성과와 직무 기반 임금체계 도입을 선정한 것과 달리 청년 구직자와 근로자는 기업의 투자 및 채용 확대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경총은 정부가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정책과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펴는 한편 강도 높은 경제 활성화 정책으로 기업이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서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imy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청년 고용을 제약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기업은'청년 눈높이'를 청년 구직자는 '기업의 노력 부족'을 꼽아 견해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계 및 전문가는 '산업구조 변화', 근로자는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을 청년실업의 주요인으로 지목했다.
26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의 '청년 고용 제약요인 인식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기업은 '청년 눈높이'(8.12점), '경기 침체'(7.85), '정년 60세 의무화'(7.69),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68),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49) 등 순으로 청년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높게 평가했다.
반면 청년 구직자는 '기업의 노력 부족'(7.72),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70), '경기 침체'(7.67), '정부 및 정치권 정책 실패'(7.38),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08) 등의 순으로 청년고용 제약 요인을 꼽아 기업과 상당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
근로자는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75) 문제를 1순위 요인으로 지적했으며'청년 눈높이'(7.74), '기업의 노력 부족'(7.45), '경기 침체'(7.33), '정부 및 정치권 정책 실패'(7.28) 순으로 응답했다.
학계는 '산업구조 변화'(7.39)와 '경기 침체'(7.34),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3),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28), '정년 60세 의무화'(7.2) 등 순으로 지적했다.
특별한 조치가 없으면 청년실업 문제가 어떻게 될 것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장단기적으로 악화할 것이라는 답변이 응답주체 모두 70% 이상이었다.
청년 실업을 해결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할 주체로는 정부(50.3%)와 기업(27.8%)이 꼽혔다. 특히 청년 구직자와 근로자는 정부의 지원책 마련과 함께 기업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했다.
시급히 추진돼야 할 과제로 기업과 학계 전문가가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성과와 직무 기반 임금체계 도입을 선정한 것과 달리 청년 구직자와 근로자는 기업의 투자 및 채용 확대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경총은 정부가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정책과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펴는 한편 강도 높은 경제 활성화 정책으로 기업이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서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imy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