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훈 의원 "국내 관련 기술 없어…시급히 규정·기술 확보해야"
증기발생기 등 원전 대형폐기물이 최대 19년째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채 원전본부 내에 그대로 보관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원전 대형폐기물이 갈수록 늘어남에 따라 임시저장고 건설에 수백억 원의 혈세가 투입되고 있으며, 국내에는 이와 관련한 처분 기술조차 아직 제대로 확보되지 않은 실정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새누리당 김정훈 의원실에 제출한 '국내원전 대형폐기물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금까지 국내 원전에서 나온 대형폐기물 가운데 처리 조치가 취해진 뒤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으로 이송된 것은 하나도 없었다.
특히 1998년 고리원전 1호기에서 나온 증기발생기는 올해까지 19년동안 고리본부 내 제4방사성폐기물 저장고에 '임시보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수원은 기준이나 근거 없이 크기가 커 일반 용기에 넣어 운반하기 곤란한 것을 편의상 원전 대형폐기물로 분류하고 있다고 김정훈 의원실은 설명했다. 증기발생기와 원자로 헤드가 이에 해당한다.
지금까지 고리원전 1호기 증기발생기 2대, 원자로 헤드 1대, 한울 1~4호기 증기발생기 10대 등 15대의 대형폐기물이 발생했다.
교체 계획이 마련된 고리원전 2호기 원자로 헤드 1대 등 9대까지 포함하면 총 24대를 처리해야한다.
재질 등에 부식과 균열이 생겨 교체하는 물량이 갈수록 늘어나는 것이다. 한수원은 이미 7천817억원을 새 설비 설치 등 교체비용으로 투입했고 앞으로 7천103억원이 더 필요하다.
문제는 천문학적인 비용을 들여 설비를 교체한 뒤 생긴 폐기물이 그대로 원전본부 내에 남겨져 있다는 점이다.
'방사성폐기물 관리법'에 따르면 원전 대형폐기물은 최종적으로 원자력환경공단으로 인도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형폐기물을 처분 용기에 담기 위한 절단·압축 과정과 제염·포장 등 일련의 처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김정훈 의원은 "현재 국내에는 한수원을 포함해 원전 대형폐기물을 처리할 수있는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 한 곳도 없다"며 "이런 실정이다 보니 한수원은 대형폐기물 저장을 위한 별도의 저장고를 마련하는데 막대한 예산을 집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김정훈 의원실이 입수한 '원전 대형폐기물 임시저장고 현황'에 따르면 4개의 임시저장고를 건설해 대형폐기물 18대를 보관하는데 416억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나머지 6대는 원전본부 내에 전용 저장고가 아닌 종합정비공작건물, 제4방사성폐기물 저장고 등에 보관되고 있다.
김정훈 의원은 "한수원은 원전 대형폐기물로 인한 국민의 불안과 사회·경제적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라도 시급히 관련 처리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며 "아직 완료되지 않은 '원전 해체 상용화 기술' 확보도 마무리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한수원은 원전 대형폐기물 처리 사업과 내년 6월에 영구 정지하는 고리원전 1호기의 해체 사업을 연계한 '원전 해체산업 육성 로드맵'도 조속히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한수원은 "원자력환경공단이 운영하는 경주방사성폐기물처분장이 지난해부터 가동됐는데 그 이전에는 대형폐기물을 처분할 장소가 마땅히 없었다"며 "아울러 그간 대형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규정과 기술도 제대로 없었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이와 관련한 제반 사항을 정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가능한 이른 시일내에 관련 기술을 확보해 안전하게 대형폐기물을 처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cool@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증기발생기 등 원전 대형폐기물이 최대 19년째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채 원전본부 내에 그대로 보관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원전 대형폐기물이 갈수록 늘어남에 따라 임시저장고 건설에 수백억 원의 혈세가 투입되고 있으며, 국내에는 이와 관련한 처분 기술조차 아직 제대로 확보되지 않은 실정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새누리당 김정훈 의원실에 제출한 '국내원전 대형폐기물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금까지 국내 원전에서 나온 대형폐기물 가운데 처리 조치가 취해진 뒤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으로 이송된 것은 하나도 없었다.
특히 1998년 고리원전 1호기에서 나온 증기발생기는 올해까지 19년동안 고리본부 내 제4방사성폐기물 저장고에 '임시보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수원은 기준이나 근거 없이 크기가 커 일반 용기에 넣어 운반하기 곤란한 것을 편의상 원전 대형폐기물로 분류하고 있다고 김정훈 의원실은 설명했다. 증기발생기와 원자로 헤드가 이에 해당한다.
지금까지 고리원전 1호기 증기발생기 2대, 원자로 헤드 1대, 한울 1~4호기 증기발생기 10대 등 15대의 대형폐기물이 발생했다.
교체 계획이 마련된 고리원전 2호기 원자로 헤드 1대 등 9대까지 포함하면 총 24대를 처리해야한다.
재질 등에 부식과 균열이 생겨 교체하는 물량이 갈수록 늘어나는 것이다. 한수원은 이미 7천817억원을 새 설비 설치 등 교체비용으로 투입했고 앞으로 7천103억원이 더 필요하다.
문제는 천문학적인 비용을 들여 설비를 교체한 뒤 생긴 폐기물이 그대로 원전본부 내에 남겨져 있다는 점이다.
'방사성폐기물 관리법'에 따르면 원전 대형폐기물은 최종적으로 원자력환경공단으로 인도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형폐기물을 처분 용기에 담기 위한 절단·압축 과정과 제염·포장 등 일련의 처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김정훈 의원은 "현재 국내에는 한수원을 포함해 원전 대형폐기물을 처리할 수있는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 한 곳도 없다"며 "이런 실정이다 보니 한수원은 대형폐기물 저장을 위한 별도의 저장고를 마련하는데 막대한 예산을 집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김정훈 의원실이 입수한 '원전 대형폐기물 임시저장고 현황'에 따르면 4개의 임시저장고를 건설해 대형폐기물 18대를 보관하는데 416억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나머지 6대는 원전본부 내에 전용 저장고가 아닌 종합정비공작건물, 제4방사성폐기물 저장고 등에 보관되고 있다.
김정훈 의원은 "한수원은 원전 대형폐기물로 인한 국민의 불안과 사회·경제적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라도 시급히 관련 처리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며 "아직 완료되지 않은 '원전 해체 상용화 기술' 확보도 마무리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한수원은 원전 대형폐기물 처리 사업과 내년 6월에 영구 정지하는 고리원전 1호기의 해체 사업을 연계한 '원전 해체산업 육성 로드맵'도 조속히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한수원은 "원자력환경공단이 운영하는 경주방사성폐기물처분장이 지난해부터 가동됐는데 그 이전에는 대형폐기물을 처분할 장소가 마땅히 없었다"며 "아울러 그간 대형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규정과 기술도 제대로 없었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이와 관련한 제반 사항을 정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가능한 이른 시일내에 관련 기술을 확보해 안전하게 대형폐기물을 처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cool@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