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기준보다 중요한 것은 관리 능력
최근 요소수를 사용하는 디젤 엔진이 증가하면서 요소수에 대한 철저한 관리 필요성이 제기된다. 디젤엔진이 연료를 태운 후 내뿜는 질소산화물을 무해한 물질로 바꿔주는 촉매제로 요소수 사용이 늘면서 검증되지 않은 제품이 유통되고 있어서다.
일반적으로 요소수는 한 번 뿌려지면 사라지는 소모품이다. 차 마다 소모량이 다르지만 대형 상용차는 경유 사용량의 4~6%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디젤차 배기가스에 많이 포함된 질소산화물(NOx)이 미세먼지의 씨앗이 된다는 불명예(?)를 벗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정화 시스템의 핵심 촉매제다. 디젤차가 여전히 건재한 이유도 선택적 촉매 전환(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장치를 통해 질소산화물을 획기적으로 줄였기 때문이다. 국내 역시 지난해 차의 체급과 상관없이 거의 모든 디젤차에 SCR 장치가 장착되면서 SUV 운전자들도 점차 SCR과 요소수에 친숙해지고 있다.
SCR의 원리는 간단하다. 디젤차 엔진에서 나온 배기가스가 SCR을 통과할 때 요소수가 분사되고, 이 혼합 가스가 촉매를 거치면서 유해한 질소산화물이 질소(N₂)와 물(H₂O)로 분리돼 대기에 배출된다. 유해 물질이 무해 성분으로 바뀌는 셈이다. 이때 질소산화물 분해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요소수다. 따라서 요소수의 품질과 관리는 상당히 중요 항목으로 분류된다.
현재 국내 법률에서 규정한 요소수의 정식 명칭은 '자동차 촉매제'로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환경부에서 관리한다. 해외에선 애드블루(AdBlue), DEF 등의 상표명으로 불리며 제조사마다 세운 엄격한 기준에 따라 생산과 판매가 이뤄지는 반면 우리나라는 요소수의 품질과 유통을 법으로 강력하게 관리한다. 요소수의 중요성과 소비자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관리는 허점 투성이다. 실제 지난 7월 초 한 매체의 언론 보도는 업계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환경부 소속 교통환경연구소가 매월 홈페이지에 자동차 촉매제 적합 리스트를 게재하는 과정에서 부적합 제품이 포함돼 일어난 소동이다. 물론 해당 부적합 리스트는 과거에 판정받은 기업들의 명단이었고 이들이 대부분 재인가를 받아 유통하고 있음이 밝혀지면서 일단락됐지만 소비자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의 중요성도 함께 부각됐다. 소비자들은 과거 어떤 회사가 부적합 판정을 받은 이력이 있는지 전혀 모르는 상태였고, 기준 충족을 여러 번 실패하다가 성공한 회사가 현재도 제대로 제조하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요소수의 관리 측면에서 다른 논란도 있다. '자동차 촉매제 적합 제품 현황'에 보면 촉매제명(브랜드명)이 나와 있다. 그러나 시중에는 촉매제명이 없는 브랜드가 다수 존재한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SK 등 정유사들도 요소수를 판매하고 있지만 이들 또한 제품 인가 리스트에 없다. 국내 판매 1위를 자랑하는 유록스도 볼보, BMW, 메르세데스-벤츠 등에 OEM으로 제품을 납품하지만 역시 촉매제명이 없다. 여기에 군소 업체들이 만들어내는 수많은 브랜드를 고려하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브랜드만 시중에 수십 가지가 유통되고 있음을 짐작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국내 대기환경보전법은 제조기준에 맞지 않게 요소수를 만든 제조사와 요소수를 공급하거나 판매한 유통사에 최장 7년 이하 징역 또는 최고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정도로 무거운 처벌을 부가한다. 그만큼 미세먼지 배출과 저감에 요소수의 품질이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적합 요소수임을 알면서도 그대로 사용한 소비자 역시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내야 한다.
하지만 환경부의 요소수 관리 방식이 무거운 처벌에 부합될 만큼 철저하게 이뤄지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래서 소비자 단체를 중심으로 SCR 장착 디젤차가 급증하는 지금 정부의 단속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적용된 촉매제도 그만큼 성분 분해 능력이 좋아야 제대로 된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이다.
오아름 기자 or@autotimes.co.kr
▶ [하이빔]일본 친환경차에 대한 보조금 논란
▶ [하이빔]車 서비스, 소비자 선택 제한의 논란
▶ [하이빔]자율주행차, 2030년 상용화 쉽지 않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