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P통신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미 고위 당국자는 이날 취재진에게 11월22일까지 지소미아가 종료되지 않는다면서, 미국은 한국이 그때까지 생각을 바꾸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지소미아로) 돌아가려면 할 일이 많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지소미아의 효력이 실제로 종료될 때까지 시간이 남은만큼 한국이 지소미아 종료 결정을 재고하라고 촉구하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한국시간으로 27일 고위 당·정·청 회의에서 “지소미아가 종료하는 11월23일까지 약 3개월의 기간이 남아 있다”며 “그 기간에 타개책을 찾아 일본의 부당한 조치를 원상회복하고 우리는 지소미아 종료를 재검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양국이 진정한 자세로 대화하길 바란다”고 말한 바 있다. 이는 일본이 ‘백색국가(수출심사우대국 목록)에서 한국 제외’ 결정을 철회하면 한국은 지소미아를 되살릴 수 있다고 시사한 것으로 해석됐다.
미 당국자는 “중국이 이 (지소미아 종료) 결과에 불만족스러워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며 “이는 (동북아)지역에서의 중국 입장을 강화하거나 적어도 동맹 구조를 덜 위협적으로 만든다”고 주장했다. AFP통신은 “한국은 미국을 통해 여전히 일본과 (군사)정보를 공유할 것이라고 하지만 또 다른 미국 당국자는 그런 방식은 핵무장을 한 북한에 직면했을 때 효과적이지 않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해당 당국자는 2016년 지소미아 체결 이전의 한·미·일 3각 정보공유에 대해 “위기 상황에서 꽤 번거롭고 매우 불편하며 사실상 쓸모없다”고 말했으며 “특히 위기 상황에서,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가 있을 때 시간이 핵심”이라고 말했다고 AFP통신은 부연했다.
로이터통신도 이날 익명을 요구한 미 국무부 고위 당국자가 이날 언론 브리핑을 통해 “(한·일)양쪽이 상황을 진정시키고 진지하게 (협상으로) 돌아오면 고맙겠다”며 “우리는 그들이 지금 관계 재건 시작을 할 수 있게 시도하는 데 여전히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 당국자는 “(한·일 갈등이)정보공유 협정(지소미아)의 지속 가능성을 상당히 해쳤다”면서도 “아직 완전히 (가능성이)사라진건 아니다. 희망적으로 (관계를)회복할 기회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모건 오테이거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지난 25일 대변인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한국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에 대해 “한국 방어를 더 어렵게 하고 미군에 대한 위협을 키울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비판한 바 있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