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브스글로벌과 포브스코리아가 공동으로 조사해 최근 발표한 ‘2019 한국 50대 부자’에 따르면 김 회장은 총 1조7661억원의 재산을 보유해 국내 23번째 부자로 올라섰다. 김 회장은 2016년 47위(7억3500만달러·약 8100억원)로 처음 순위권에 진입한 데 이어 2018년 43위(1조1133억원)를 거쳐 올해 처음으로 30위 안으로 들어왔다.
김 회장은 이건희 회장의 차녀인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24위·1조7424억원), 이재현 CJ그룹 회장(26위·1조6835억원), 이명희 신세계 회장(31위·1조3416억원),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39위·1조1886억원),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최고투자책임자(44위·1조827억원) 등보다 재산이 많았다. 박현주 미래에셋대우 홍콩 회장(20위·1조8958억원),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21위·1조8838억원) 등은 김 회장과 재산이 비슷했다.
국내 최고 부자는 19조8022억원을 보유한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며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8조7224억원), 김정주 NXC 대표(7조4258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김 회장의 재산이 급증한 것은 주식 등 보유자산의 평가액 증가와 함께 지난해 MBK파트너스의 1호 펀드가 청산된 덕분이라는 분석이다. 김 회장은 2005년 14억달러(약 1조6000억원) 규모로 조성한 1호 펀드를 지난해 21억900만달러(약 2조5300억원) 규모로 청산했다. PEF 운용사는 출자자(LP)와 약속한 수준 이상의 수익률을 올리고 펀드를 청산하면 통상 수익금의 20% 이상을 성과보수로 받는다. 김 회장은 MBK의 1호 펀드 성과보수 중 50~70%를 분배받은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PEF업계 관계자는 “국내 PEF 운용사가 점점 대형화함에 따라 한상원 한앤컴퍼니 회장, 송인준 IMM프라이빗에쿼티(PE) 사장 등도 조만간 국내 50대 부호로 등극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1963년생인 김 회장은 살로먼스미스바니(현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 아시아·태평양 최고운영책임자(COO)를 거쳐 글로벌 PEF 운용사인 칼라일그룹으로 이직하면서 PEF업계에 발을 내디뎠다. 칼라일그룹 아시아 회장을 지낸 그는 2005년 독립해 MBK파트너스를 세웠다.
정영효 기자 hug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