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정책금리의 실효 하한에 대한 범위를 넓게 잡으면서 중장기적 관점에서 채권 투자가 유효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9일 "취약한 국내 펀더멜탈 여건으로 향후 기준 금리가 더 내릴 수 있다는 입장이 더욱 강화됐다"며 "통화당국이 금리 실효 하한에 대한 인식을 제고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금리 실효 하한은 금리를 내렸을 때 실제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수준을 말한다.
공동락 연구원은 "한국은행도 글로벌 중앙은행들과 같이 금리를 올릴 때는 많이, 내릴 때는 조금 내리는 불문율을 비교적 충실하게 이행해왔다"며 "하지만 8월 금통위에서 이주열 총재는 금리 실효 하한의 개념을 통화정책이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금리 하한과 신흥국에서 자본 유출을 촉발하는 금리 하한, 두 가지로 구분했다"고 했다.
이어 "이는 이주열 총재가 통화정책이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유동성 함정) 의미에 더해 신흥국에서 자본이 유출되지 않는 수준의 금리라는 의미까지 포괄해 금리 실효 하한의 논의 자체를 확장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단순히 한 국가의 펀더멘털 문제가 아닌 자본이 국경을 넘어서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여건까지도 금리 하한을 추정할 때 포함시켜야한다는 것이다.
그는 "통화당국이 직접적으로 금리 하한에 대한 논쟁에 가세한 만큼 추후에도 적정금리 논쟁과 금리 실효 하한에 대한 논의는 지속될 것"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낮아진 금리 수준에 대한 부담으로 공격적인 채권 포지션 구축이 쉽지 않더라고 최소한 기존 채권 포지션을 유지하거나 단기적인 채권시장의 조정을 중장기적 시각에서 채권 포지션을 확대하는 기회로 삼야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