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정유섭 자유한국당 의원이 전력거래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올해 9월까지 가시리·성산·김녕 등 제주도 풍력단지에 내려진 ‘출력제한’ 명령은 총 64차례에 달했다. 일시적으로 풍속이 빨라 발전량이 급증하자 제주 전력망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발전을 멈춘 것이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풍력발전 출력이 급증하면 과발전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막기 위한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풍력발전 공급량이 늘면서 출력제한 건수도 매년 증가세다. 2015년에는 8월에 한 차례, 10월에 두 차례 등 총 세 차례에 불과했으나 작년엔 16차례로 다섯 배 이상 늘었다. 올해는 9월까지 25차례 출력제한 조치가 이뤄졌다. 제주도에선 풍력발전기 총 116기(265.1㎿)가 운영 중이다.
전력을 저장했다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활용할 수 있지만 용량이 턱없이 부족한 데다 안전성 논란도 일고 있다. 2017년부터 총 25건의 화재가 잇따랐기 때문이다. 정부가 올 6월 ESS 안전 강화 대책을 발표했지만 이후에도 두 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출력제한은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들쭉날쭉한 풍력발전의 간헐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손양훈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는 “독일 등 유럽에선 바람이 몰려 풍력발전이 일어나면 인근 국가에 전기를 팔아 해소하지만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불가능하다”며 “ESS 등 인프라를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정부가 주도적으로 풍력발전 단지부터 늘리는 건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