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6세대와 그 이후 세대의 성향 차이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는 인기 학과의 변화다. 586세대는 각기 다른 경로로 ‘기득권’을 지향했다. 문과는 법조인, 정치인을 선호했고 이과는 첨단 분야의 전문가를 꿈꿨다. 하지만 두 번의 외환위기를 거치고 저성장기에 접어들면서 이후 세대는 안정지향적 성향이 강해졌다. 문과생들은 자격증을 따기 쉬운 학과에 몰렸고 대기업 사원과 공무원이 되기 위한 시험을 준비했다. 이과에서 의사가 절대적 인기 직종이 됐다.
문과에선 2000년대 이후 경영학과, 사범대학 선호가 강해졌다. 이과에선 1994년까지 서울대 물리학과가 입학성적 1위를 차지하다가 1995년 서울대 의예과에 자리를 내줬다.
하지만 청년 세대는 갈수록 심한 경쟁 피로감과 박탈감을 호소하고 있다. 산업 구조조정이 지연되고 성장률이 둔화되면서 이른바 ‘안정된 자리’는 더 좁아졌다.
추가영/박종관 기자 gychu@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