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함
우리는 대부분 중독을 조장하는 순응에 만족하고 안주한다. 여가와 노동은 동전의 양면이자 필요충분조건들로, 여가를 통해 노동이 항상 새롭게 변신한다.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이 둘 사이에 넘을 수 없는 높다란 담을 쌓았다. 우리는 자유로운 시간을 대개는 TV를 보거나 손 안의 TV인 스마트폰을 쳐다보면서 소일한다. 굳이 알지 않아도 되는 타인의 물건이나 타인의 일상을 탐닉한다. 혹은 카페에 앉아 별로 중요하지 않은 연예인 이야기로 몇 시간을 보낸다. 심지어 높은 산 정상에 올라서는 스마트폰을 꺼내 정상 표지석 앞에서 어색한 표정을 지으며 ‘셀카’를 찍는다.
우리에게 어제 한 일들을 오늘 반복하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것이 없다. 우리는 인생이라는 무대에 들어와 아무것도 이루지 못하고, 아무것도 열망하지 못하고 아무도 모르게 그 무대에서 사라진다. 이스라엘 왕 솔로몬이 《전도서》에서 말한 “부질없다. 부질없다. 인생의 모든 것이 부질없다”라는 고백이 인생의 핵심인가? 현대인들은 정체된 호수의 녹조(綠藻)처럼 번식하고 있는 무료함과 수동성, 그리고 침체라는 정신병을 앓고 있다.
의지(意志)
우리 대부분은 육체적이거나 정신적인 쾌락을 즐기는 인생을 추구하고 만족한다. 매순간 다양한 쾌락을 최대한 즐기고 고통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삶을 성공이라고 착각한다. 다른 사람들이 반복해온 것들을 흉내 낼 때, 우리는 안전하다고 느낀다. 인간 누구에게나 진정으로 독창적이며 어떤 인간도 시도해본 적이 없는 것을 실행해 옮길 수 있는, 인간이라는 동물에게만 부여된 천재성이 있다. 바로 ‘의지(意志)’다. 의지는 단순한 바람을 넘어서서 그 결과를 자신의 삶의 중요한 일부로 만들겠다는 결심이다.
19세기 독일 철학자 쇼펜하우어는 《의지와 표상으로서 세계》(1818년)라는 책에서 인간이 소유한 의지를 은이나 금보다 소중한 가치로 평가한다. “만일 세상에 가치라는 게 있어, 아둔하고 교육을 받지 않은 대중도 은이나 금보다 가치가 있다고 평가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우리 삶이라는 어둠을 침투하는 한 줄기 빛이다.” 쇼펜하우어는 남들이 하는 짓을 흉내만 내는 대중은 인생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신비하거나 어렵게 보지 않고, 당연한 것들로만 수용한다고 판단한다. 시공간 안에 살면서 인과를 통해 진행되는 사건들은 인간 자신의 의지와 의지가 표현된 표상의 반영일 뿐이다.
반전
테베 원로들로 구성된 합창대는 장님 예언자 테이레시아스가 전하는 테베 왕가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듣는다. 그들은 혼돈의 신이자 재생의 신인 디오니소스를 불러 테베를 파괴하지 말고 살려 달라고 애원한다. 디오니소스를 위한 테베 시민들의 의례는 점점 무서운 병에 걸린 테베를 하늘에서 불타고 있는 별들로 정화하려는 심판으로 변한다.
《안티고네》에 여섯 번째로 등장하는 이야기는 이전까지 진행된 이야기를 전복시키는 ‘반전(反轉)’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리스 비극의 내용과 구성을 다룬 《시학》에서 비극 주인공의 운명, 특히 혈연으로 복잡하게 얽힌 진실을 마주해 그 실상을 발견하는 ‘깨달음’(그리스어 ‘아나그로리시스’)을 통해 사건이 걷잡을 수 없게 전개되는 과정을 ‘반전’(그리스어 ‘페리페테이아’)으로 설명했다. 테베에서 오염을 제거하려는 디오니소스 찬양이 끔찍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전령의 소식으로 바뀐다. 전령은 이렇게 반전 드라마를 시작한다. “카드모스와 암피온의 궁전 주위에 사시는 여러분. 인간의 어떤 단계도 정해져 있다고 찬양하거나 비난하지 않겠습니다. 운명은 하루아침에 행복한 사람이나 불행한 사람을 일으켜 세우기도 하고 넘어뜨리기도 합니다. 인간에게 정해진 질서에 관해 예언할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하이몬의 자살
합창대 대장은 전령의 불길한 이야기를 듣고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묻는다. 그러자 전령은 말한다. “하이몬이 죽었습니다. 그의 피를 자신의 손에 의해 흘렸습니다.” 하이몬은 아버지가 안티고네를 서서히 죽어가도록 방치한 행위에 화가 나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순간에 하이몬의 어머니 에우리디케가 무대에 등장해 말한다. “도성에 사시는 모든 시민 여러분. 나는 팔라스 여신(아테나)에게 기도드리고 간청하려고 문밖으로 나오다 여러분의 말을 들었습니다.(…) 나는 놀란 나머지 뒤로 넘어져 하녀들의 팔에 안겼고 정신을 잃어버렸어요. 어떤 소식인지 다시 한 번 말해주세요.” 전령은 하이몬과 안티고네의 죽음을 자세히 설명한다.
전령은 안티고네와 하이몬의 죽음을 보고는 외친다. “인간에게는 ‘무의지(無意志)’가 가장 큰 재앙이다.” ‘무의지’라고 번역한 그리스어는 ‘아불리아(aboulia)’다. 이 단어는 ‘경솔함, 생각이 모자람, 우유부단’으로 흔히 번역된다. 아불리아는 ‘의지, 결정’ 혹은 ‘고대 그리스 500명으로 구성된 민회를 통한 숙고’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불레(boule)’에 ‘부재’를 의미하는 접두사 ‘아(a)’가 붙어 형성된 단어다. 자신의 삶을 위해 숙고하지 않는 삶, 그 숙고를 자신의 삶에서 실천하려고 노력하지 않는 삶이 재앙이다.
기억해주세요
인간 누구에게나 진정으로 독창적이며 어떤 인간도 시도해본 적이 없는 것을 실행해 옮길 수 있는, 인간이라는 동물에게만 부여된 천재성이 있다. 바로 ‘의지(意志)’다. 의지는 단순한 바람을 넘어서서 그 결과를 자신의 삶의 중요한 일부로 만들겠다는 결심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