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표적인 가구·패션 중견업체였던 A사는 창업주의 아들이 경영에 참여한 뒤 회사 주요 사업부문을 매각했다. 경쟁력을 잃어가는 제조업 대신 스포츠와 호텔업 등으로 사업 구조를 재편했다. 규모는 작더라도 알짜배기 가족회사를 갖고 싶어했기 때문이다.
한 자동차 부품회사의 오너 2세는 투자회사를 운영하겠다고 선언했다. 미국에서 경영학을 전공한 뒤 외국계 기업에서 컨설턴트로 일해온 그는 제조업 대신 자신의 경험을 살리겠다며 신산업 진출 계획을 밝혔다. 그룹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는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다.
중견기업연합회는 2~3세대 경영자의 기업가 정신을 육성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중견기업연구원이 내년 3월부터 연세대 경영대와 손잡고 중견기업 2~3세대 경영자만을 위한 차별화된 ‘MBA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이유다. 일반적인 경영 이론보다 기업가 정신, 가업승계에 따른 어려움 해결 및 신성장동력 발굴, 기존 사업의 선진화 방안, 기업 인수합병(M&A), 해외 진출 등의 주제를 깊이있게 다룰 예정이다.
가업승계를 연구해온 김선화 한국가족기업연구소 소장은 “2~3세대는 1세대가 키워놓은 회사를 전문성을 갖춘 중견기업 이상으로 성장시켜야 한다는 부담이 크다”며 “헝그리 정신과 강한 리더십을 갖췄던 1세대에 비해 2~3세대는 그렇지 않은 사례가 많다”고 지적했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