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 다섯 곳 모두 개편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다음달 광주은행을 시작으로 경남은행, 부산은행이 내년 초 잇따라 모바일뱅킹을 개편한다. 지난 9월 말 대구은행과 이달 초 전북은행의 개편을 포함하면 5개 지방은행 모두 한 달여 간격으로 모바일뱅킹을 손보는 것이다.
공통적인 개편 방향은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데 뒀다. 구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대폭 줄이고 공인인증서 인증 방식에서 벗어나는 형태다. 대구은행은 9월 말 이용 절차를 간편하게 하면서 생활편의 서비스를 추가한 ‘IM뱅크’를 선보였다. 2015년 3월 모바일 앱 출시 이후 4년 만의 개편이다. 자산관리, 결제뿐 아니라 부동산, 의료 등 생활편의 서비스 기능도 담았다.
전북은행도 지난 7일 공인인증서 대신 패턴 등을 통해 이체할 수 있도록 모바일뱅킹을 개편했다. 광주은행은 다음달 중순 앱의 사용자환경을 대폭 바꾼다.
경남은행은 내년 1월 편리한 이체 서비스를 강점으로 하는 새로운 모바일뱅킹을 출시하기로 했다. 로그인 방식도 공인인증서에 의존하지 않고 더 빠르고 편하게 바꿀 계획이다. 향후 인공지능(AI) 기반의 모바일뱅킹을 구축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부산은행은 내년에 은행, 카드, 보험 등 금융정보를 종합관리할 수 있는 ‘금융비서’ 서비스를 적용하는 방식의 앱 개편에 나선다.
그동안 지방은행의 모바일뱅킹 가입자 수는 미미했다. 광주은행은 2014년부터, 전북은행은 2016년부터 모바일 앱을 운영했지만 두 곳의 가입자 수는 합쳐야 100만 명을 겨우 넘는다. 2015년 출시한 대구은행(130만 명)과 2016년 나온 부산은행, 경남은행 앱 가입자도 각각 100만 명 수준이다. 카카오뱅크가 2년 새 가입자 1000만 명을 모은 데 비하면 10분의 1에 불과하다. 지방은행들은 모바일 인력 확보에도 적극 뛰어들고 있다. 부산은행은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앱 분야 기획, 디자인, 디지털 마케팅 전문가를 잇따라 채용해 올 들어서만 15명을 충원했다. 광주은행과 전북은행도 앱 개발 인력을 새로 뽑았다.
설 자리 좁아진 지방은행
경남·광주·대구·부산·전북 등 5개 지방은행의 올해 1~3분기 순이익은 9904억원에 그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1조527억원)보다 5.9% 감소했다. 전북은행 외엔 모든 지방은행의 순이익이 쪼그라들었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지방 경기침체와 모바일 거래 활성화 등으로 지방은행이 설 자리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며 “모바일 시대에 대응하지 않으면 지방은행이 살아남기 힘들 것이란 위기감이 팽배하다”고 말했다.
모바일뱅킹 활성화는 위기이자 기회일 수 있다는 게 지방은행의 공통된 생각이다. 은행의 영업점 수 등 규모에 얽매이지 않고 모바일뱅킹 설계와 보안, 편의성 등으로 경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인터넷은행 및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간 모바일뱅킹 경쟁력 격차가 크게 벌어져 있다”며 “고객의 눈높이를 충족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내놓는 게 시급하다”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