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인구구조 변화는 ‘정해진 미래’나 다름없다. 그동안 생산인구 증가로 경제성장의 덤을 누렸던 ‘인구 보너스’ 시대에서, 이제는 왕성한 소비계층인 생산인구가 줄면서 소비도 위축돼 성장이 더 지체되는 ‘인구 오너스(onus)’ 시대에 진입한 것이다. 그 파장은 전방위적이다. 인구 증가 시기에 형성된 제도·법규·관행·문화 등이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것이란 얘기다.
흔히 생산인구가 줄면 취업난이 인력난으로 바뀔 것으로 기대하지만 섣불리 장담할 수 없다. 산업현장의 인력 수요는 향후 경제상황에 달려 있는 것이지, 인구 변화가 결정짓는 게 아니다. 고용부는 고령자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로 향후 10년간 경제활동인구가 124만 명 늘 것으로 예상했지만 오히려 소비 위축에 따른 내수 부진, 생산 자동화, 해외 투자 등으로 인력 수요가 예상에 훨씬 못 미칠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생산인구 감소 대책은 고용·노동제도의 유연화에서 찾아야 한다. 정규직 과(過)보호, 연공서열식 호봉제 임금, 획일적 정년 연장 등으로는 청년 취업의 병목현상만 심화시키고 고령자·여성의 경제활동에도 큰 걸림돌이 될 것이다. 융·복합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컨베이어벨트식 공장에나 적합한 경직된 노동규제를 고집해서는 안 된다. ‘정해진 미래’도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선택 가능한 미래’가 될 수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