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에서 새 성장동력 발굴
대학가에선 지난 6월 발표된 대학정보공시 결과가 작은 화제였다. 국민대가 산학협력 분야 기술이전 수입료 실적에서 전국 대학 중 1위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국민대는 지난해 기술이전 수입료로 57억8477만원을 벌어들여 2위 성균관대(50억1551만원)와 3위 서울대(42억2688만원)를 여유있게 따돌렸다. 기술이전 수입료는 대학의 연구 성과를 기업에 이전한 대가로 지급받는 금액으로, 대학의 연구 역량과 산학협력의 우수성을 가늠하는 지표로 쓰인다.
임 총장은 “국민대는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 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며 “산업 현장에 교수와 연구원들이 방문해 기술자문과 시제품 제작, 공정 개선 등 전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다른 대학과의 차별점”이라고 강조했다. 임 총장은 국민대가 산학협력 분야에서 승승장구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이유로 교수들의 역량을 꼽았다. 그는 “국민대 교수는 논문만을 위한 연구가 아니라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준비가 돼 있다”며 “실용학풍의 전통이 산학협력 분야에서 독보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 총장은 모든 대학이 공통으로 겪고 있는 재정난을 극복할 방안으로 산학협력을 첫손에 꼽았다. 그는 “대학은 학생 등록금 의존도를 줄이고 스스로 생존할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며 “산학협력이 그 비책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미국과 유럽의 대학들도 한국과 비슷한 과정을 거쳐 산학협력을 통해 자생할 토대를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문·이과 가리지 않고 AI 교육
임 총장은 코앞으로 다가온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해 학생들의 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도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 당장 내년부터 문·이과를 가리지 않고 모든 학생에게 인공지능(AI) 관련 교육을 필수 교양 수업으로 지정해 가르칠 계획이다. 임 총장은 “과거 글쓰기 수업이 모든 대학생의 필수 교양 수업이었다면 미래에는 AI 관련 수업이 그 자리를 대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상상력이 뛰어난 인문학도와 예체능계열 학생들이 컴퓨터공학과 학생보다 더 훌륭한 AI 인재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며 “문·이과를 가리지 않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인재가 될 수 있도록 학교 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국민대는 내년부터 소프트웨어융합대학원 내에 AI 전공도 신설한다. 산업현장에서 뛰고 있는 현직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무 전문가 과정이다.
임 총장은 이미 최고 수준에 오른 자동차공학과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이어가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국민대는 자동차 분야와 관련해선 ‘최초’ 타이틀을 여러 개 보유하고 있다. 1992년 국민대에 국내 최초의 자동차공학과가 문을 열었고, 1998년 생긴 자동차공학전문대학원은 지금도 국내에서 유일한 자동차공학 분야 전문대학원이다. 2014년에는 국내 최초로 자동차 분야만의 단과대학인 자동차융합대학을 설립했다.
임 총장은 “자동차산업은 전통적인 제조업에서 벗어나 정보기술(IT)을 접목한 모빌리티 서비스업으로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며 “자동차융합대학은 지금까지의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다가올 빠른 변화의 시대를 이끌어갈 자동차 및 자동차 IT 분야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