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명돈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서울대 의대 감염내과 교수·사진)은 23일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가 2주 뒤 개학을 하겠다고 한 것은 전파억제 정책의 완화를 의미한다”며 “2주간의 시간 동안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지난 22일부터 15일간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면서 종교시설, 실내 체육시설 등의 운영 중지를 권고했다. 이를 통해 감염병 확산을 막겠다는 취지다. 전국 초·중·고교 개학은 다음달 6일로 예정돼 있다. 오 교수는 “개학 연기는 많은 사람이 모이는 학교를 막아 유행 확산을 억제하는 중요한 수단 중 하나”라며 “이것을 2주 후 완화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개학 후 일정 기간 환자가 늘 가능성이 있다고도 했다. 그는 “홍콩에서 학교 문을 닫았다가 개학했을 때 인플루엔자 유행 양상을 분석한 연구가 있는데 첫 몇 주간 인플루엔자 감염 학생 수가 늘었다”며 “국내도 개학하면 코로나19 환자가 늘어날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억제 정책을 계속 이어가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학교가 쉬면서 아이를 돌봐야 하는 고령 노인은 오히려 더 큰 위험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것도 문제다. 억제 정책을 하면서 면역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예방접종뿐이기 때문이다. 백신이 개발되기까지 1년 넘게 걸리는 것을 고려하면 강력한 억제 정책을 1년 넘게 계속해야 한다는 의미다. 오 교수는 “코로나19 재생산지수가 2.5라면 60% 정도가 면역을 획득해야 확산이 멈춘다는 뜻”이라며 “면역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은 예방주사를 맞거나 감염 후 회복돼 자연 면역을 획득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했다.
이는 방역당국에도 딜레마가 될 수 있다. 억제 정책을 한없이 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백신이 일찍 개발되지 않으면 코로나19 유행이 계속될 수 있다. 오 교수는 사회적 논의가 시급하다고 했다. 그는 “억제 정책과 완화 정책 사이에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잘 이해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개학을 위해 학급 간, 학년 간, 학교 간 전파를 막기 위한 방법을 논의해야 한다”며 “의료인을 위한 마스크 등 장비를 충분히 준비하고 정부는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