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V, 정상영업 극장도 일부만 운영
CJ CGV는 28일부터 CGV 직영점 116곳 가운데 30%에 해당하는 35곳의 영업을 중단한다고 26일 밝혔다. 휴점에 들어가는 극장은 서울 대학로·명동·수유·청담씨네시티·피카디리 1958·하계점과 경기 김포풍무·의정부태흥 등이다. 영업하는 극장도 전체 상영관 중 일부만 운영한다. 하루 7회 상영하던 회차도 CGV용산아이파크몰과 왕십리, 영등포점을 제외한 모든 극장에서 3회(9시간)로 축소한다.
모든 임직원은 주 3일 근무 체제로 전환한다. 고통 분담 차원에서 대표는 30%, 임원은 20%, 조직장은 10% 비율로 연말까지 월 급여를 자진 반납한다. 근속 기간 10년 이상 근무자를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희망하는 임직원에 한해 무급 휴직도 시행한다. CGV 관계자는 “임차료, 인건비 등 고정비 부담이 높은 극장 사업 특성상 5월까지 신작이 없는 상황에서 전체 극장 영업을 중단하는 것이 맞다”며 “하지만 영화관 매출을 영화업계 전체에 분배하는 수익구조상 영화산업을 위해 35개 극장만 우선 휴업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코로나19 상황이 진정되지 않고 장가화하면 전체 영업 중단 등 더 강도 높은 자구안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CGV는 모든 극장 임대인에게 임차료 지급 유예를 요청하기로 했다. CGV 직영점들의 총 임차료는 월 170억~180억원에 달한다. CGV는 앞으로 6개월간 지급을 보류하고, 극장이 정상화하면 12개월간 분할 지급할 방침이다.
롯데시네마·메가박스도 비상체제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도 비상체제에 들어갔다. 롯데시네마를 운영하는 롯데컬처웍스는 지난달부터 임원 임금 20%를 자진 반납하고 직원들은 희망자에 한해 무급휴가를 쓰도록 하는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롯데시네마의 일부 상영관은 하루 상영 회차를 평소의 절반가량인 3회로 축소해 운영하고 있다. 다만 극장 휴점에 대해선 신중한 태도다. 롯데컬처웍스 관계자는 “고용 안정과 영화산업 현장을 지킨다는 취지에서 당분간 영업을 지속할 계획”이라며 “하지만 추후 상황에 따라 영업 중단도 신중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메가박스도 이달부터 임원 월급을 20% 반납한다. 다음달부터 임직원의 50%가 한 달간 휴직에 들어가고 나머지는 주 4일간 근무하기로 했다. 44개 직영점 가운데 고양 킨텍스점 등 10개 지점은 다음달 영업을 중단한다. 위탁점 58곳 가운데 이미 영업을 중단한 9곳도 다음달까지 문을 닫는다.
영화계, 정부 긴급지원 요청
극장업의 붕괴 위기는 코로나19 여파로 관객이 급감하면서 초래됐다.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이달 22일까지 전국 영화관 관객 수는 881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232만 명에 비해 73% 격감했다. 이 기간 CJ CGV와 롯데컬처웍스, 메가박스 등 멀티플렉스 3사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00억원 이상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3사의 적자폭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3사 합산 적자 규모는 지난달 240억원, 이달에는 810억원으로 추산된다.
영화관은 호텔이나 항공, 공연업과 마찬가지로 해당 시간에 좌석을 판매하지 못하면 재고 없이 곧바로 손실로 이어진다. 지난달부터 코로나19 확산으로 대구·경북 등 전국 80여 개 극장이 영업을 중단했지만, 극장들은 임차료와 관리비, 인건비 등을 계속 지출해왔다. 앞으로 수개월간 극장 사업이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아 영화계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주요 영화들이 대부분 개봉을 연기하면서 요즘 극장가에는 저예산 독립영화나 재개봉작만 걸리고 있다.
영화계는 정부에 긴급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한국상영발전협회는 26일 ‘존폐 상황에 놓인 위기의 상영관! 정부는 해결책을 강구하라’는 제목의 성명에서 “최근 특별고용지원업종 등 코로나19 관련 정부 지원 분야에 영화산업이 제외된 것은 영화상영업계의 심각한 위기 상황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한 결정”이라며 “정부는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유재혁 대중문화전문기자 yooj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