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디플레이션(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경제활동이 침체되는 현상)'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0%로 간신히 1%대에 턱걸이했고, '경기 온도계'로 불리는 근원물가는 20년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2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1.0% 오른 105.54로 집계됐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2개월 내내 1%를 밑돌더니 1965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0.4%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선 1월 1.5%로 회복됐으나 2월 1.1%, 3월 1.0% 등 다시 떨어지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소비·투자 등이 위축된 탓이다.
물가는 너무 높으면 국민에게 부담을 주지만 너무 낮아도 문제다. 물건이 잘 안 팔리고 경기가 침체됐다는 뜻이어서다. 특히 디플레이션은 기업 수익성 하락 → 투자 감소 → 고용 부진 → 가계소득 하락 등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지난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0.4% 올랐다. 외환위기 때인 1999년 12월(0.1%) 이후 약 20년만에 최저치다. 근원 물가는 날씨 등 외부 요인에 따라 물가 변동이 심한 품목을 제외한 물가 지표다.
서비스 물가 상승률도 0.5%에 머물렀다. 1999년 12월 이후 가장 낮았던 지난 2월(0.4%)과 비슷한 수준이다. 사람들이 외식·여행 등 외부 소비 활동을 확 줄였기 때문이다. 서울 마포구의 미용실에서 일하는 정모씨는 "한 달 주기로 머리를 자르던 고객들이 두 달이 넘도록 오질 않는다"고 말했다.
영화관이나 유원지를 찾는 발걸음이 끊기니 오락 및 문화 물가는 1.3% 하락했다. 2006년 9월(-3.6%) 이후 가장 낮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올 1월 1684만명이던 영화관 관객 수는 지난달 1~29일 172만명으로 쪼그라들었다.
다만 코로나19로 집에서 음식을 요리하거나 배달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축산물(6.7%)과 가공식품(1.7%) 가격은 뛰었다.
물가는 경기 영향이 천천히 반영되는 점을 고려하면 다음달은 물가 상승률이 0%대로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김현욱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코로나19로 수요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고 국제유가도 하락세여서 저물가가 심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