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이 5일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지난 3년간 134차례 이뤄진 한국갤럽 여론조사를 전수 분석한 결과 무당층은 문재인 대통령 당선 1년2개월 만에 반문(反文)으로 돌아섰다. 이 기간에 무당층은 전체 응답자 가운데 20~30%를 차지했다.
무당층의 70%는 취임 초기 문 대통령이 직무수행을 잘할 것으로 기대했다. 미·북 정상회담이 이뤄진 2018년 6월까지 무당층의 절반 이상은 문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무당층 사이에서 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으로 바뀐 건 2018년 7월 말께다. 이때 문 대통령에 대한 무당층의 부정평가가 44%로, 긍정평가(32%)를 처음으로 앞섰다. 김경수 경남지사가 드루킹 댓글 사건으로 검찰 소환을 앞두고 있던 때다.
무당층의 문 대통령 평가가 가장 부정적이던 시점도 정권의 도덕성 문제와 맞물려 있다. 지난해 8월 넷째주 조사에서 문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18%(부정평가 67%)에 그쳤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한 공방이 펼쳐진 시기와 겹친다.
최근 들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면에서 문 대통령에 대한 무당층 지지율은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문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고 답한 무당층은 40%(3월 넷째주 기준)다. 하지만 여전히 무당층의 47%는 문 대통령이 못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무당층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과 경제운용에 대한 불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8월 둘째주 부동산 정책 평가 조사에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지지하는 무당층 비율은 25%에 불과했다. 지지하지 않는 비율은 31%였다. 가장 최근인 3월 첫째주 조사에서 무당층의 59%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불만족’이라고 답했다. 잘하고 있다고 답한 무당층은 7%에 불과했다.
정부가 경제정책을 잘하고 있다고 답한 무당층(지난해 2월 넷째주 기준)은 14%, 못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65%였다. 문 대통령 취임 2주년을 기념해 이뤄진 지난해 5월 첫째주 조사에서도 무당층의 71%가 경제정책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했다.
무당층은 야당에 대한 호감도도 낮았다. 2018년 11월 넷째주 이뤄진 정당별 호감도 조사에서 무당층의 18%가 더불어민주당에 호감이 간다고 답했다. 자유한국당(현 미래통합당)은 7%로 호감도가 11%포인트 낮았다.
하지만 정부 견제 심리는 강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6월 첫째주 조사에서 총선 때 현 정부의 잘못을 심판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고 응답한 무당층 비율은 42%로, 여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고 답한 비율(28%)을 웃돌았다. 가장 최근인 3월 넷째주 조사에서도 무당층은 ‘정부 심판론(37%)’에 힘을 실었다. 지난주 조사에서 무당층은 전체의 27.2%에 달했다. 정권 심판론과 야당 책임론 사이에서 마음을 정하지 못한 무당층의 막판 표심에 따라 선거 판세도 뒤집어질 것이란 관측이다. 정치권에선 과거 선거 양상을 볼 때 무당층에 ‘숨은 야당 표’가 상대적으로 많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과거 무당층은 정권을 심판하는 쪽으로 투표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이념적 충성도가 낮은 편이어서 자기 이익에 따라 합리적인 투표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