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 광주시장과 윤종해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장, 박광태 광주글로벌모터스 대표는 29일 광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계속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광주 노동계는 △노동이사제 도입 △경영진 교체 △임원 임금 제한 등 자신들의 요구를 철회하기로 했다. 이들은 또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실행할 합작법인인 광주글로벌모터스에 노사 관련 문제를 맡을 상생위원회를 신설하고, 광주시 산하에 광주상생일자리재단도 설립하기로 했다.
노동계의 ‘몽니’와 광주시의 오락가락 행보에 대해 “상생형 일자리 사업의 취지를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사업 자체가 무산될 위기에 놓이자 진화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침체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등으로 고용대란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새 일자리를 만들 기회를 노동계가 걷어차는 게 말이 되냐는 지적이 많았다”며 “광주지역 시민단체들도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무산되면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직원 연봉 3500만원 수준의 완성차 공장을 지어 일자리 1만여 개(협력업체 포함)를 창출하자는 취지로 시작됐다. 광주시와 현대자동차는 지난해 1월 △주 44시간 근무 △근로자 평균 초임 연봉 3500만원 △노사 상생협의체 구성 △35만 대 생산 시까지 생산협의회 결정사항 유지(임금 수준 유지) 등을 담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현대차와 부품업체, 금융회사 등은 이 협약을 근거로 투자를 결정했다.
노동계도 당시 협약에 동의했고, 노·사·민·정이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다. 하지만 노동계는 협약 체결 이후 노동이사제 도입 등 무리한 요구를 이어갔다. 그러다 자신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지난 2일 이 사업에서 손을 떼겠다고 발표했다.
노동계의 무리한 요구가 이어지면서 사업 자체가 무산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광주글로벌모터스 주주들은 지난 8일 주주총회를 열고 이날(29일)까지 노동계가 복귀하지 않으면 사업 진행 여부 등을 재검토하기로 결의했다. 일부 주주는 “노동계의 횡포가 지나치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노동계가 무리한 요구를 하고 광주시가 이에 휘둘리는 사태가 재발하면 안 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 관계자는 “적정 임금을 지급하는 공장을 만들어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원래 취지를 잊으면 시장 경쟁력을 잃는다”며 “자칫 사업 자체가 무산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노동계의 무리한 요구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병욱/광주=임동률 기자 dod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