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에게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고, ‘무노조 경영’에서도 벗어나겠다는 이 부회장의 발표는 여러 측면이 고려된 것이라고 본다. 경제계에 미칠 파장이 적지 않을 사안이지만, 지혜를 모으고 운용의 묘를 살리면 삼성이 초일류 기업으로 계속 성장하는 발판으로 삼을 수도 있다. 기업 지배구조, 노사관계, 사회와의 소통 등의 문제는 딱히 답이 없으면서도 한국 기업의 취약점으로 종종 지적돼온 게 사실이다.
주요한 관심사는 사회적으로 어떤 분위기에서 삼성이 이런 사과를 하게 됐는가일 것이다. 우리 사회에 팽배해온 맹목적 ‘반(反)기업 기류’ 때문이라면 문제는 심각하다. 선거를 치를 때마다 거칠어지는 ‘대기업 때리기’는 도를 넘었다. 검·경은 기업인에게는 유난히 엄한 잣대를 대고, 법원까지 도를 넘는 훈시에 법조항 밖의 것까지 요구하는 게 ‘한국적 기업 현실’이다.
더 큰 문제는 기업, 특히 대기업에 대한 인식 자체가 굉장히 왜곡돼 있다는 점이다. 최선의 상품과 서비스로 소비자후생을 키우며, 일자리 창출과 납세만으로도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게 기업이다. 일부 기업은 국가 브랜드를 이끌어갈 정도다. 그런데도 정작 국내에서는 질시와 교정의 대상처럼 돼버렸다. 국민의 의식주와 교통·통신, 여가·오락까지 기대는 게 기업인데도 터무니없는 공격이 넘친다. 공영 교육방송(EBS)이 “대기업 물건을 사면 소수의 부와 권력을 지원하는 것”이라며 프랜차이즈 사업의 본질까지 곡해하는 교재를 버젓이 발간한 것은 수많은 사례 중 하나일 뿐이다.
반기업 정서는 사리에 맞지 않을뿐더러 코로나 위기 극복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열강의 시대에 총포를 앞세웠던 군대를 대신해 식량과 에너지 자원을 조달하는 것도 기업이다. 17세기 초 ‘동인도회사’로 서양이 동양을 압도한 것도 주식회사 형태의 기업이 국부의 원천이 됐기에 가능했다. ‘마스크 대란’ 와중에 원재료를 조달해낸 것도 기업이었다. 코로나 이후를 대비하려면 이제 우리 외교도 ‘실리콘밸리 대사’를 보내 글로벌 IT 대기업들과 관계 개선을 꾀하는 수준으로 진화해야 한다.
물론 기업도 변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의 급류 속에서 변신은 필수다. 하지만 기업 스스로 변하는 것이어야 한다. 국가나 권력의 엄호를 받는 사회단체 등의 강압에 의한 변화는 바람직하지 않고, 효과도 기대하기 어렵다. 남양유업의 이익공유제 도입도 공정거래위원회의 오랜 조사 끝에 정책성과 형식으로 발표됐다는 점에서 적잖은 논란거리를 남겼다. 기업을 키워나가는 사회, 기업을 적극 지원하는 정부가 돼야 한다. 한국 같은 개방형 경제가 기업 외에 무엇에 기대어 성장할 수 있겠나.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