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코로나지원금) 용처를 두고 패션업계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백화점과 마트, 쇼핑몰 등에 입점한 대부분의 토종 브랜드에선 사용할 수 없지만 주요 상권에서 가두점을 운영하는 일본 제조·직매형 의류(SPA) 브랜드 유니클로에선 사용할 수 있다는 게 알려졌기 때문이다. “정부가 국고를 풀어 일본에 돈을 갖다 주는 셈”이라는 감정 섞인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
20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한섬 등이 운영하는 국내 토종 패션 브랜드들은 대부분 백화점과 대형마트에 입점해 있어 재난지원금 혜택을 못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섬이 운영하는 패션 브랜드 타임의 경우 백화점은 50곳, 아울렛은 36곳에 매장을 두고 있다. 이 중 백화점에선 재난지원금을 사용할 수 없다. 재난지원금을 쓸 수 있는 직영 가두점은 5곳뿐이다. 마인도 백화점 39곳, 아울렛 32곳에 입점돼 있고 직영 가두점은 4곳이다.
‘유니클로 대항마’를 선언한 토종 브랜드 스파오, 탑텐, 자주 등도 대부분 입점 매장이 많다. 자주는 국내 매장 190여 곳 중 170여 곳이 이마트 등에 입점돼 있다. 20개 매장만 직영 가두점으로 운영 중이다. 1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자주, 스파오, 탑텐 등의 오프라인 매장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60%가량 줄었다.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에프알엘코리아에 따르면 현재 유니클로의 국내 매장은 총 179곳이다. 이 중 재난지원금을 쓸 수 있는 곳은 가두점 13곳, 교외형 대형매장(로드사이드) 36곳이다. 입점 매장 130곳 가운데서는 입점 형태에 따라 재난지원금을 쓸 수 있는 곳도 있고, 없는 곳도 있다. 이런 비판이 나온 것은 명동중앙점 등 유동인구가 많은 주요 상권에 재난지원금을 쓸 수 있는 유니클로 매장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패션업계에선 보고 있다.
네티즌은 “일본 회사 배불리려고 정부가 재난지원금 줬나” “타임, 마인 못 사는 것도 억울하지만 더 작은 영세 사업자 지원이 가능해져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