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공인중개사 1차 시험에 응시한 20대는 1만3277명을 기록했다. 2015년 1만728명에서 2018년 1만5533명으로 매년 늘었지만 지난해 하락세를 보였다. 30대 응시자도 마찬가지다. 2015년 2만6697명에서 2018년 3만9356명으로 증가한 뒤 지난해 3만5196명으로 뒷걸음질쳤다.
공인중개사 시험 응시자 증가세는 2030 세대 응시자가 줄어든 여파로 지난해 꺾였다. 1차 시험 전체 응시자는 2015년 9만3185명에서 2018년 13만8287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 12만9694명으로 줄었다. 반면 60대 이상 노년층 응시자는 상승세다. 지난해 1차 시험 응시자 중 60대 이상은 8080명으로 집계됐다. 2015년 3905명에서 매년 1000명 이상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잇따른 정부 규제로 부동산 경기 침체가 확산되면서 2030 세대가 공인중개사 시험을 외면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공인중개사 자격증이 더 이상 ‘취업 스펙’으로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도 커졌다. 건설사, 부동산 신탁사, 시행사 등 일부 관련 업종을 제외하면 현실적으로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노년층 응시자 증가는 100세 시대를 맞아 노후 대비를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누구나 응시할 수 있고 정년, 은퇴가 없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노년층의 부동산 자격증 열풍은 아파트 관리 등을 담당하는 주택관리사 자격시험에서도 엿볼 수 있다. 대한주택관리사협회에 따르면 주택관리사 자격시험 1차 응시자 중 60대 이상은 지난해 2223명으로 2015년(1081명)에 비해 두 배가량으로 늘었다.
공인중개업 전망도 밝지 않은 편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등으로 부동산 ‘거래절벽’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실계약 기준)는 3008건으로 지난 3월(4411건)에 비해 31.8% 감소했다.
중개업소 신규 개업도 하락세다. 지난달 공인중개사 신규 개업은 1202건으로 올 들어 최저 수준이었다. 서울 강동구 A공인 대표는 “공인중개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라며 “계약갱신청구권이 도입되면 중개업소의 고충은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