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유통업체들이 ‘눈물의 세일’을 시작했다. 할인율이 50~80%에 달한다. 재고품이 아니라 신상이다. 통상 제철이 끝나고 가을이나 연말에 하던 걸 2~3개월 앞당겼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올 봄·여름 신상품 대부분이 그대로 재고로 쌓이자 빨리 소진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다. 하반기 신상품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해야 한다는 절박함도 깔려 있다. 한 패션업체 관계자는 “이런 추세라면 내년엔 사업을 접는 브랜드가 수십 개 생길 것이란 괴담이 나올 만큼 생존의 기로에 선 패션업체가 많다”며 “패션업계가 깊은 불황에 빠졌다”고 말했다.
“한 장이라도 빨리 털자”
패션업계에서 재고는 가장 큰 부담이다. 옷은 계절과 유행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안 팔리면 제품의 가치가 큰 폭으로 떨어진다. 옷걸이에 걸어 보관해야 하는 옷들은 물류창고에서 자리도 많이 차지한다. 재고관리에 들어가는 고정비용이 그만큼 높다.
패션업체들은 브랜드 가치 하락도 감수하고 대폭 세일에 들어갔다. 패션 브랜드의 가치는 세일의 유무, 할인폭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세일을 자주 하면 브랜드 가치는 떨어지게 마련이다. 패션업체 한섬이 ‘타임’ ‘시스템’ 등 자사 여성복 브랜드를 항상 정가에만 판매하는 ‘노세일 전략’을 고수하는 것도 ‘최고급 국내 여성복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언제 사도 손해보지 않는 브랜드”란 인식이 중요하다.
하지만 분위기가 달라졌다. “지금은 브랜드 가치를 따질 때가 아니다”란 분위기가 팽배하다. “당장 올 하반기 신제품을 생산할 돈이 없다”는 패션업체들도 있다. 봄·여름 시즌의 이윤을 포기하고 가을·겨울 시즌 매출을 늘리는 것이 낫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제품 단가가 비싼 가을·겨울 신제품을 많이 팔아야 그나마 연매출을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빨리 재고를 털어내고 자금을 회전시켜 가을·겨울 마케팅에 쓰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토종 브랜드들의 세일 폭이 크다. 에잇세컨즈, 미쏘, 빈폴, 헤지스, 써스데이아일랜드, 탑텐 등이 대표적이다. 에잇세컨즈와 미쏘는 11일부터 ‘시즌오프’ 세일을 시작했다. 신제품을 최대 67%까지 할인해 준다.
해외 브랜드인 올세인츠, 마시모두띠, 앤아더스토리즈, H&M, 유니클로 등도 예년보다 일찍 시즌오프 세일을 시작했다. 정가 대비 30~50%씩 싸게 판다. 이들은 통상 늦여름인 8월 말이나 9월쯤 여름 신상품 할인 행사를 했으나 올해는 그 시기를 확 앞당겼다.
오픈마켓도 ‘빅세일’ 돌입
유통업체들도 가세했다. 패션에 특화한 온라인몰들이 큰 폭의 할인 행사에 돌입했다. 패션 편집숍인 W컨셉과 위즈위드는 지난 8일부터 ‘빅세일’을 시작했다. W컨셉 입점 브랜드는 최대 80%까지 할인해 준다. 위즈위드는 ‘골든구스’ ‘커먼프로젝트’ 등의 브랜드를 최대 50%까지 싼값에 팔고 있다.
오픈마켓도 ‘상반기 패션 결산 세일’을 시작했다. 이베이코리아가 운영하는 G마켓과 옥션은 오는 17일까지 170여 개 패션·뷰티 브랜드 제품을 최대 80% 할인 판매한다. 대부분이 여름 신제품이다. 휠라, 아디다스, 헤지스, 닥스, 바네사브루노, 갤럭시, 엠비오, 지오다노, 안다르, 로즈몽 등 유명 의류 브랜드 제품을 싸게 판다. 록시땅, 버츠비, 토니모리, 히말라야 등 화장품 브랜드도 참여했다. 오픈마켓은 회원을 대상으로 25~30% 추가 할인받을 수 있는 쿠폰까지 뿌리고 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