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은 매번 틀린다’는 말은 뼈아픈 얘기입니다. 전국 어느 곳이든 최소 두 시간 뒤 내릴 비를 알려주도록 예보 정확도를 높일 계획입니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2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올 하반기 역점 사업으로 ‘예보 정확도 향상’을 꼽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청장은 “기상청의 예보 정확도가 국민이 기대하는 수준에 못 미친다는 것을 안다”며 “100%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어렵지만 그 역량을 최대치로 끌어올리려 한다”고 강조했다. 정확한 예보를 제공하면서 기상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높이는 게 최대 목표라고 했다.
기상예보 체계 확 바꾼다
세계 어느 나라도 예보 정확도가 100%인 곳은 없다고 김 청장은 말했다. 김 청장은 “예보 정확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어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한국은 약 93%로 일본 등 주요 기상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했다. 특히 한국은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국토의 3분의 2 이상이 산악지대여서 날씨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예보가 어렵다고 했다.
김 청장은 공군사관학교 체계분석학과를 나와 공군본부 공군기상단 단장, 기상산업기술원장 등을 거친 기상 전문가다. 그는 “기상정보가 국민의 생활과 안전에 미치는 영향은 80~90%”라며 “적어도 비가 내리기 두 시간 전에는 우산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청장은 “10년 이상 유지해온 기상 예보의 틀을 올해 대대적으로 개편하고 있다”며 “기후 변화가 갈수록 변화무쌍해져 예보 체계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달부터는 서울 지역의 특보체계를 4개 구역으로 쪼갰다.
이달부터는 기온뿐만 아니라 습도, 일사량 등을 고려한 체감더위를 반영해 폭염특보 기준을 개편했다. 종전 폭염특보는 최고 기온만 고려했다. 1시간 간격으로 제공하던 초단기 예보를 이달부터 10분 간격으로 좁힌 것도 큰 변화다. 시시각각 달라지는 ‘코앞’의 기상 변화까지 빠르게 관측해 알리려는 것이다. 김 청장은 “현재 동 단위(5㎞ 간격)로 제공하고 있는 예보를 2022년엔 동네 단위(1㎞ 간격)로 촘촘하게 하는 게 목표”라며 “올 하반기엔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상산업도 관심 가져야”
김 청장은 “예보 정확도는 성능 좋은 수치예보 모델, 예보관의 우수 역량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한국 상황에 맞는 알고리즘을 개발해 수치예보 모델의 예측 성능을 높이겠다”고 했다. 기상청은 올해 예보관의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전문직 공무원 제도를 도입했다. 예보 분야에서 계속 근무하면서 관련 역량을 높이는 형태다.
앱과 유튜브 등을 통한 정보 제공 및 소통도 강화할 방침이다. 기상청은 2015년 운영을 중단한 앱 ‘날씨알리미’를 지난해 12월 다시 선보였다. 8억원가량을 투입했다. 김 청장은 “직접 소통하는 채널을 늘려가며 실시간으로 정확한 예보를 하는 게 중요하다고 판단했다”며 “날씨알리미는 시중 앱에 비해 지역별 날씨 변화를 빠르게 업데이트해준다”고 했다.
4년 뒤에는 한국의 기상산업이 본격 성장할 것이란 전망도 내놨다. 기상장비업과 기상서비스업으로 구성된 한국 기상산업 규모는 4800억원(2018년 매출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의 0.03%다. 그는 “기후 변화가 심해지면서 기상산업 수준이 국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도 커지고 있다”며 “국가적으로 기상산업 발전에 관심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2024년 한국 기상장비 알고리즘을 개발할 것”이라며 “기상청에서 인증한 기상장비를 해외로 수출해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하겠다”고 했다. 본격적인 판로가 개척되면 수천억원대 수주가 가능할 전망이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