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은 HDC현산이 요구한 재실사(아시아나 경영 상황을 다시 들여다보는 작업)에 대해 “수용할 수 없다”며 “거래 종결을 지연시키려는 의도”라고 규정했다. M&A 특성상 여기까지 이르게 된 내막을 바깥에서는 알 길이 없다. 다만 HDC현산과 아시아나 대주주인 금호산업, 그리고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밝히기 어려운 각자의 사정이 있을 것으로 짐작할 뿐이다.
모두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마지막까지 협의의 불씨를 살리겠다면 산은이 상대방인 HDC현산에 모든 법적 책임이 있다는 식으로 몰아가는 것은 성급해 보인다. 이동걸 산은 회장이 경영 판단을 잘못해 망해버린 미국 유통업체의 사례를 언급하며 HDC현산을 압박하는 것도 적절한 비유로 보기 어렵다.
산은은 매각 무산 시 아시아나를 계열사로 편입해 직접 정상화할 수 있다는 ‘플랜B’를 소개했다. 산은 등이 보유한 아시아나 영구채를 주식으로 전환해 최대주주에 오른 뒤, 자금을 공급해 경영을 정상화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아시아나는 또 하나의 공기업이 된다. 정상화 후 재매각을 추진한다지만 플랜B는 처음부터 민간에 넘기는 방안과는 전혀 다른 문제점을 예고한다. 한번 공기업이 되면 이를 고착화하려는 기득권이 형성돼 채권단의 구상대로 재매각된다는 보장이 없다. 정부를 상대로 구조조정에 대한 저항이 거셀 것 또한 불 보듯 뻔하다. 대우조선 등 과거 사례가 이를 말해준다.
M&A든 구조조정이든 원칙대로 해야 부작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 플랜B는 그야말로 마지막 옵션이어야 한다. 채권단과 계약 당사자인 HDC현산 및 금호산업이 어떻게든 ‘민간 매각’ 형태로 아시아나 정상화의 해법을 찾기 바란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