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도교육청이 2학기 전면등교 방안을 추진하자 학부모들이 모인 인터넷 카페에서는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적은 지역이나 맞벌이 부모들은 환영하지만,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나오는 수도권 지역 학부모들은 불안해하는 모양새다.
학부모의 반응이 엇갈리는 데는 시·도교육청과 교육부가 등교 방안에 대해 아직 ‘타협점’을 찾지 못한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원격수업 장기화로 벌어진 학습격차에 대해 시·도교육청은 ‘전면등교’를, 교육부는 ‘원격수업 강화’라는 서로 다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교육부가 지난 11일 발표한 ‘교육안전망 강화 방안’엔 학습격차 해소 방안으로 AI를 활용한 국·영·수 학습 보조프로그램을 도입하거나, 원격수업 멘토단을 선발해 수업을 돕는 등 각종 대책이 제시돼 있다. 학생들이 원격수업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격차가 벌어졌으니 제대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자는 것이다.
하지만 교육 현장의 생각은 조금 다르다. 교육부가 초·중·고교 교사 5만10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원격수업으로 인한 학생 간 교육격차를 개선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응답자의 37.1%는 ‘등교수업을 통한 오프라인 보충 지도’를 해법으로 꼽았다. ‘개별화된 학습 관리 진단 플랫폼 구축’은 31.2%, ‘학생 수준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은 9.1%에 그쳤다. 특히 설문에 응한 교사들 가운데 80%는 ‘학생 간 학습격차가 커졌다’고 답했다.
시·도교육청은 이런 현장의견을 반영하면 전면등교를 추진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달까지 코로나19 확진자가 속출했던 광주를 포함해 14개 시·도교육청은 매일 등교 방안을 확정했다. 다만 학생 수가 가장 많은 경기·서울교육청은 코로나19 확산으로 교육부 권고사항인 ‘밀집도 3분의 2 이하’를 유지할 계획이다.
교육계에서는 지역별로 등교 방안이 달라지면 지역별 격차가 커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교육부가 대책으로 제시한 AI 학습프로그램도 초등 중심으로 이뤄져 학력격차 문제가 시급한 중·고등학생에 대한 해법이 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서울의 한 사립고 수학 교사는 “원격수업을 하면 중하위권 학생들의 이해도가 절반에도 못 미친다”며 “피해를 보는 건 결국 고1~2학생”이라고 했다.
교육부는 지역별로 등교 방안이 제각각인 점에 대해 대비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2학기 개학이 불과 2주 앞으로 다가왔다. 코로나19라는 변수가 있기는 하지만 교육부의 결단이 필요한 때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