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22일 부산에서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 담당 정치국 위원을 만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방한을 조기에 성사시키기로 합의했다.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틀어졌던 한·중 관계의 완전한 정상화가 필요하다는 원칙론에도 한목소리를 냈다.
양 위원은 이날 회담에서 최근의 미·중 갈등 상황을 설명하며 에둘러 중국에 대한 지지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동맹국 줄세우기’에 나선 미국과 ‘한국은 누구 편이냐’를 반복적으로 묻는 중국 사이에서 우리 정부의 균형 외교 전략이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는 평가다.
회담 분위기는 화기애애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서 실장과 양 위원도 회담이 끝난 뒤 기자들에게 “의미 있는 대화였다”고 말했다. 한국이 의장국을 맡는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에 대해서도 합의했다.
청와대 측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중국 측 지지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강 대변인은 “서 실장은 우리 정부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을 위해 외교적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임을 강조했고 양 위원은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을 평가했다”며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위해 한국과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할 것이라고 했다”고 전했다.
양 위원의 이번 방한은 무역, 기술, 홍콩, 남중국해 등 각 분야에서 미·중 간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이뤄졌다. 외교가 일각에선 양 위원이 서 실장에게 미국이 추진하는 반중(反中) 정책의 부당성을 강조하며 한국이 중국 편에 서기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달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한국은 지금까지 미·중 갈등에 대해 원론적이고 중립적인 방침을 보이고 있지만 앞으로 상황은 녹록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 주석 방한 등을 통해 중국의 지지 요청이 보다 노골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로선 중국을 통한 남북한 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가 커 요구를 무작정 거절하기도 쉽지 않다.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는 “중국이 한국에 (중국에 대한) 우호적인 메시지를 내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며 “특히 올 11월 미국 대선 이전에 시 주석 방한이 성사된다면 미국 대선에서 한국이 불필요한 구설에 오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중국에 한국은 중요한 외교 파트너다.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 후 미국과 동맹국 28개 국가가 중국을 비판했지만 한국만 유일하게 참여하지 않았다. 화웨이 제재, 반도체 규제 등에서도 한국은 한발짝 물러나 있다. 반중 전선의 ‘약한 고리’로 여겨지는 한국에 중국이 공을 들이는 이유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