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나라 의료보험시스템의 차이가 부른 결과다. 미국엔 노인(메디케어)과 저소득층(메디케이드)을 보조하는 공적보험이 있지만, 전 국민 대상 의료안전망은 사실상 부재한다. 반면 우리는 코로나 검사·치료비 80%(나머지 20%는 국가)를 건강보험에서 대준다. 1977년 제도 도입 후 44년간 착실히 축적해 왔기에 가능한 대처다. 사회안전망 투자는 이처럼 위기 때 진가를 발한다. 외환위기 때도 그랬다. 수많은 실직 가장들이 1995년 도입된 고용보험 덕에 최악의 위기를 버텨냈다.
‘K방역의 주역’ 건강보험의 추락은 아찔하다. ‘문재인 케어’가 시작된 2018년부터 정확히 적자전환해 2년 연속 3조원대의 대규모 적자를 냈다. 올 1분기 적자만 9435억원으로 전년 동기(3946억원)의 2.4배다. 재원 대책 없이 ‘보장률 확대’ 등에만 과속한 결과다. ‘병원비 걱정없는 나라를 만들겠다’며 생색만 냈지 정부 지원은 오히려 줄었다. 건강보험 국고지원비율이 13.4%로 이명박(16.42%)·박근혜(15.35%) 정부보다 크게 낮아졌다.
국민연금 부실은 더 심각하다. 2040년 적자전환한 뒤 2054년 고갈이 예상된다. 2년 전 분석 때보다 적자전환은 2년, 고갈은 3년 빨라졌다. 이마저도 기금운용비 누락 등을 통해 300조원 넘게 부풀려진 결과라는 게 최근 감사원 감사에서 드러났다. 정부는 하루가 급한 연금 개편 골든타임 2년을 허송하더니 ‘보험료 인상’이라는 정치적 부담을 피해 중단 선언을 하고 말았다.
불과 3년 전 10조원대의 거금이 쌓여 있던 고용보험도 ‘연내 고갈’을 걱정해야 할 처지다. 다락같이 치솟은 최저임금으로 실업자가 속출한 데다 코로나가 겹쳐 월 지출이 1조원대로 급증한 탓이다. 정부가 ‘통계분식용’ 재정 일자리사업 예산을 고용보험기금에서 쌈짓돈 빼듯 한 것도 악영향을 미쳤다. 질병 노인에게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장기요양보험 역시 언제 펑크날지 모르는 살얼음판이다. 적립금이 0.8개월치에 불과해 말 그대로 그달 걷어 그달 지급하는 수준이다.
이런 땜질도 임계점에 왔다. ‘세수절벽’이 본격화돼 올 상반기에만 110조5000억원의 기록적인 재정적자가 났다. 국가부채 부담에 여권이 스스로 2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보류할 만큼 나라곳간은 비상이다. 그런데도 정부는 전국민 고용보험, 상병수당 도입 등 듣기 좋은 소리를 그치지 않고 있다. 이런 모순이 없다. 재원 대책은 안 들리니, 또 얼마나 더 사회안전망이 훼손될지 걱정이 앞선다. 약자들의 최후 보루인 사회안전망까지 정치로 물들일 텐가.
kecore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