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전증권거래소는 이전처럼 증권당국의 엄격한 심사를 받아야 하는 규제를 대폭 완화해 일정 요건만 충족하면 원칙적으로 상장할 수 있는 준등록제를 도입했다. 상장 후 5일간 가격제한을 없앴고 그 이후로도 제한폭을 20%로 늘렸다. 이 개편 작업이 시장에 먹혀들었다. 선전증시에 창업기업과 자금이 몰렸다. 베이징 중앙정부의 역할이 컸다. 중국 당국은 중국 기술기업들이 미국 시장에 상장하는 걸 막아보기 위해 선전증시를 키웠다고 밝혔다. 상하이증시의 커촹반(科創板·과학혁신판) 성공도 담보가 됐다. 이를 계기로 9조3000억달러(약 9500조원)에 이르는 중국 주식시장 전체가 개혁될 것이라고 내다보는 중국 전문가가 많다. 갈 곳을 찾으려는 중국의 유동성 자금이 선전증시로 몰려드는 게 더욱 눈에 띈다.
선전이 26일 특구 지정 40주년을 맞았다. 가난한 어촌이 1343만 인구의 대도시로 탈바꿈한 건 개혁·개방정책 덕분이었다. 중국에서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각국 기업의 노력과 중국 정부의 전략적 의지, 홍콩과의 지리적 인접성 등 여러 요건이 맞은 성과였다. 중국 정부는 선전 모델을 활용해 수백 개의 새 도시를 건설하려 했지만 선전과 같은 경제적 성공을 이룬 도시를 더 이상 조성할 수 없었다.
신기술이 계속 등장하는 실리콘밸리와 달리 중국 시장을 노리는 스타트업들의 실험장이다. 부품이 싸고 대량 구매할 수 있는 것도 이 도시의 장점이다. 도시 주민의 평균 연령은 32세다. 50대 이상을 좀처럼 만나기 힘든 곳이기도 하다.
선전시는 개인파산제도를 중국에선 처음으로 지난달 도입했다. 선전시는 “사업에 실패한 기업가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다시 일어설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 중국 정부는 광둥성 남부와 마카오, 홍콩으로 구성된 베이 지역에서 선전의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무엇보다 중국인들의 관심은 선전 부동산 가격 급등에서 엿보인다. 선전 부동산 가격은 홍콩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세계 5위에 이른다. 중국의 중산층 이상이 선전에 부동산을 소유하기 위해 몰려들면서 선전 부동산 가격은 급작스럽게 상승하고 있다. 구축 주거용 건물 가격은 2015년부터 78% 상승했다. 올해도 10% 정도 가격이 올랐다. 중국 대도시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일부 전문가는 “중국 정부가 홍콩 대신 선전에 우대정책을 계속 펼 것이며 국제비즈니스센터로서 홍콩의 지위는 언젠가 선전으로 대체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한다.
더구나 미·중 무역전쟁으로 선전은 직접 타격을 받고 있다. 상반기 0.1% 성장에 그쳤다. 폴더블 스마트폰의 판매 부진이 가장 큰 타격이다. 오히려 중국의 혁신기업들은 미국 증시인 나스닥을 찾는다. 나스닥에 등록돼 있는 중국 기업만 200개가 넘는다. 전기차 업체 샤오펑모터스와 니오, 리샹 등도 상장을 준비 중이다. 자금을 모으기 쉽고 기업 활동도 중국에 비해 훨씬 자유롭기 때문이다. 선전 전문가들은 결국 중국 정부가 선전을 얼마만큼 자유로운 도시로 조성하는지가 선전을 혁신하는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오춘호 선임기자 ohchoo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