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전공의협의회가 긴급 대의원회를 소집해 파업 중단 논의를 시작한 것은 29일 오후 10시다. 14시간에 이르는 마라톤 회의 끝에 이들은 30일 낮 12시께 박지현 비상대책위원장에게 7일간 전권을 맡기고 무기한 집단휴진을 이어가기로 결정했다.
국회와 의료계가 잇따라 중재에 나섰지만 소득이 없었다. 한정애 국회 보건복지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28일 박 위원장과 전공의들을 만나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관련 법안 추진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안정될 때까지 중단하기로 약속했다. 대한의사협회, 전공의협의회 등 의료전문가 집단이 포함된 국회 협의기구를 세워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이들 안건을 논의하겠다고도 했다.
29일에는 김연수 국립대병원협의회장(서울대병원장) 등 의료계 원로들이 박 위원장 등 전공의들을 만나 의사협회와 정부가 참여하는 의정협의체를 통해 의대 정원 조정, 공공의대 설치를 원점에서 논의하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약속했다. 약속이 지켜지지 않으면 대학병원들도 집단휴진에 동참키로 했다.
젊은 의사들은 협상안을 거부했다. 대의원 총회 결과 과반에 미치지 못해 부결된 1차 투표의 파업 유지 찬성률은 50%, 중단은 25%로 파업 찬성이 우세했다. 다시 벌인 2차 투표 결과 파업 유지는 72%, 중단은 21%였다.
의료계 내부에서는 정부에 대한 신뢰가 깨졌다고 평가했다. 한 대학병원 교수는 “전공의와 정부 간 앞선 협상에서 논의 내용을 문서로 작성해 달라는 전공의들의 요구가 지켜지지 않았다”며 “2000년 의약분업 협상 때도 문서로 남기지 않아 번복된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구두 합의 내용을 믿지 못한 것”이라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