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0나노미터(㎚) 크기 결정인 ‘나노 입자’ 개념은 50여 년 전 처음 등장했다. 현재는 신소재, 바이오 신기술과 물리학 연구 대부분이 나노 입자에 의존할 정도로 중요성이 커졌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연세대·전북대, 서린바이오사이언스,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와 함께 난치성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DNA(데옥시리보핵산)-은 나노 클러스터’ 원리를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DNA-은 나노 클러스터는 인공적으로 만든 ‘합성DNA’에 은 나노 입자를 넣은 것을 말한다. 암, 치매 등 난치성 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의 체내 DNA 또는 RNA(리보핵산)에 달라붙어 빛을 내면서 질환의 유무나 경중 등을 알려주는 신소재다. 합성DNA 꼬리(말단) 부위에 은 나노 입자를 넣으면 적색·청색 등 다양한 색이 발광하는데,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그동안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한·미 공동 연구팀은 합성DNA를 ‘엇갈린 집게 모양 머리핀’ 모양으로 만든 뒤 은 나노 입자를 넣으면 오렌지색 발광이 가장 강렬하게 일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원자력연 내 특수시설(중성자 소각산란 장치)을 이용해 5년간 연구한 결과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정일래 원자력연 책임연구원은 “암 진단의 정확도와 민감성을 높일 수 있는 원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신소재를 합성할 때도 나노 입자를 주로 쓴다. KAIST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미 드렉셀대 연구팀과 함께 신소재 ‘맥신’을 초박막 필름으로 제조하는 기술을 확보했다. 맥신은 티타늄과 몰리브덴, 하프늄 등 금속 원자와 탄소 원자로 구성돼 있는 2차원 나노 소재다. 전기 전도성이 뛰어나 ‘꿈의 신소재’로 불린다.
연구팀은 특수 나노 공법으로 대면적 초박막 맥신 필름을 55㎚ 두께로 만들면 전자파를 99% 이상 막을 수 있음을 보였다. 유연 전자소자, 5세대(5G) 이동통신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
나노 입자가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KAIST와 KIST는 미 아르곤국립연구소와 함께 치매 원인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를 흡입, 제거할 수 있는 나노 입자를 최근 개발했다. 치매는 세포 밖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찌꺼기와 세포 내 타우 단백질이 신경 섬유 다발에 뭉쳐 축적될 때 발생한다. 연구팀은 베타-아밀로이드에 선별적으로 달라붙어 없앨 수 있는 특수 항체 ‘scFv’를 제작한 뒤 2~50㎚ 크기의 실리카(규소 산화물) 나노 입자에 실었다. 이를 쥐의 뇌에 투입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베타-아밀로이드 축적률이 80% 이상 감소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응용 범위를 넓히면 체내 다양한 유해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나노 청소기’ 개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