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풀이
門: 문 문
前: 앞 전
成: 이룰 성
市: 저자 시
문 앞이 시장이 선 것처럼 되었다는 뜻
부자나 권세가 집에 사람이 몰리는 것의 비유-<한서>
전한(前漢)의 11대 황제 애제는 무능한 군주였다. 애제가 즉위하자 조정의 실권은 황실 일족에서 외척 가문으로 넘어갔다. 또 당시 20세인 애제는 동현이라는 미동(美童)과 동성애에 빠져 나랏일을 돌보지 않았다.
정숭이라는 충신이 애제에게 눈물로 호소했다. “폐하, 이 나라 백성을 굽어살펴주시옵소서.” 하지만 그 또한 애제의 분노만 살 뿐이었다. 당시 조정에는 조창이라는 상서령(장관급의 한 직책)이 있었는데, 그는 전형적인 아첨배로, 왕실과 인척지간인 정숭을 모함할 기회만 노리고 있었다. 조창이 애제에게 고했다. “폐하, 아뢰옵기 황공하오나 정숭의 집 문 앞이 저자(시장)를 이루고 있사옵니다(門前成市)’. 이는 심상치 않은 일이오니 엄중히 문초하소서.”
이에 애제가 정숭을 불러 물었다. “내 듣자하니, 그대의 문전은 저자와 같다 하던데 그게 사실이오?” 정숭이 답했다. “폐하, 그렇습니다. 저희 집 앞은 사람들로 저자를 이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신의 마음은 물처럼 맑으니 황공하오나 한 번만 더 살펴주시옵소서.” 하지만 무능한 군주 애제는 그의 간청을 묵살하고 옥에 가뒀다. 그 뒤 사례라는 신하가 상소해 조창의 무고를 따지고 정숭을 변호했으나 애제는 그마저 직책을 빼앗고 서인으로 내쳤다. 결국 정숭은 그 뒤 옥에서 생을 마쳤다.
문전성시(門前成市)는 부자나 권세가의 집이 들락거리는 사람들로 북적댄다는 뜻이다. 음식점 등에 손님이 몰리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개점한 음식점이 ‘문전성시’니 큰돈을 벌 것 같다” 식으로 쓰인다. ‘정승집 개가 죽어도 문전성시를 이룬다’는 표현은 권세나 돈만을 좇은 인심의 가벼움을 꼬집는 말이다. 장자는 “이(利)로 맺어진 관계는 이익이 사라지면 같이 끊어지지만 사람으로 맺어진 관계는 이익이 사라지면 더 단단해진다”고 했다. 이 역시 이익만 좇은 인심의 가벼움을 나무라는 말이다. 사람이 줄을 서는 문전성시의 까닭이 무엇인지 헤아려 보는 게 지혜다.
shin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