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주가가 크게 올랐다. 지난 3월 중순 이후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55.7%, 나스닥지수는 73.6% 급등했다. 세계 평균 주가 상승률도 50%에 달한다. 같은 기간 한국의 코스피지수는 64.7%, 특히 코스닥지수는 103.9% 상승해 세계에서 가장 많이 올랐다.
경기와 실적이 제 궤도에 오르지 못한 상황에서 신(新)평가지표가 나올 만큼 주가가 오르는 것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금융과 실물 간 괴리현상이 더 심해졌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사태 직후인 올 3월 초 미국 중앙은행(Fed)은 1913년 설립 이후 두 번째 임시회의를 통해 무제한 채권매입 방침을 결정했다. 기준금리도 제로(0) 수준으로 한꺼번에 내렸다.
통화정책 전달 경로(기준금리 인하→시장금리 하락→총수요 증가→실물경기 회복)상 기준금리를 내려 시장금리가 오르는 것을 묶어 놓을 때는 주가가 거품이 우려될 정도로 고평가됐다고 하더라도 증시에 유입된 자금이 쉽게 빠져나가지 않는다. 여름 휴가철 이후 월가에서 가장 오랫동안 지켜진 주식과 채권 간 ‘6 대 4’의 원칙이 깨진 것이 아닌가를 놓고 떠들썩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주가가 오를 때는 채권시장에서 증시로 자금이 이동해 채권 가격이 떨어져야 한다. 이 완충능력이 확보돼야 주가가 ‘거품’이 우려될 때 채권 투자 매력이 부각되면서 증시에서 자금이 이탈해 주가가 조정된다.
하지만 기준금리가 시장금리에 따른 주식과 채권시장 간 자율적인 자금 이동을 억제할 경우 주가도 채권가격도 높은 수준이 유지된다. 7월 말 이후 주가와 채권가격이 거품이 우려될 정도로 높아짐에 따라 자금이 주거용 부동산시장으로 유입되면서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세계 집값이 이례적으로 급등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주식 채권 부동산 등 모든 자산가격이 높은 수준이 유지되면, 코로나19 사태 이후처럼 금융과 실물경제가 따로 노는 이분법 경제에서도 ‘부(富)의 효과’를 통해 경기가 살아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금융과 실물경제 간 연계가 강화돼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이 마련될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비전통적인 통화정책은 한시적 성격의 비상대책이다. 경기가 어느 정도 살아나면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풀린 돈을 회수하는 출구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출구전략이 제때 추진되지 않으면 또 다른 형태의 비전통적 통화정책을 강구해야 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Fed가 제시했던 출구전략 추진의 세 가지 기준을 코로나19 이후로 적용해 보면 양적완화에 해당하는 무제한 채권매입 정책은 시한이 정해지지 않았다. 두 번째와 세 번째 기준도 물가상승률이 2.0%, 실업률이 3.5%로 더 강화됐다. 9월 회의에서 평균물가목표제 도입으로 Fed로서는 물가 목표를 엄수해야 한다는 부담은 상대적으로 작다.
앞으로 출구전략은 ‘실업률이 언제 3.5%에 도달할 것인가’가 관건이 될 가능성이 높다. Fed 양대 목표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물가상승률과 실업률 간 음(-)의 관계를 보여주는 ‘필립스 곡선’이 금융위기 이전에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됐으나, 금융위기 이후에는 양(+)의 관계로 바뀌거나 평탄화됐다.
Fed는 내부적으로 고용시장의 개선 여부를 파악할 때 ‘베버리지 곡선’을 중시한다. 이 곡선은 일반적으로 경기가 호전될 경우 기업의 구직활동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실업률이 하락하는 점에 착안해 구인율과 실업률 간에 음(-)의 관계가 있음을 도식화한 것으로, 필립스 곡선과 다른 것은 고용시장만을 대상으로 한 이론이라는 점이다. 하지만 피터 다이아몬드 미국 MIT 교수 등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금융위기 이전까지 우하향하던 베버리지 곡선이 위기 이후에는 우상향해 미국 노동시장이 구조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미국 기업들이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명확하지 않으면 고용을 늘리는 것을 가능한 한 억제한 것이 주요인이다.
더 우려되는 것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재택근무 등으로 고용시장에서 더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점이다. 직장에서 완전히 쫓겨난 영구 실업자가 380만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필립스 곡선의 평준화와 우상향으로 전환된 베버리지 곡선이 고착화돼, 평균목표물가제를 시행한다고 하더라도 고용목표를 달성할 수 없는 현실을 암시하는 대목이다.
조지 에컬로프 미국 버클리대 교수가 비대칭 정보를 활용해 노벨 경제학상까지 받은 ‘역행적 선택론’은 경제활동에 필요한 완전한 정보를 보유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현상을 분석하는 정보경제학의 한 부류다. 출구전략 추진이 지연될수록 곤경에 처할 것으로 보이는 Fed가 잘못된 시장의 예상을 시정할 때 체크 스윙 수단으로 자주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대선 이후 주식 투자에 가장 큰 위험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 창출 없다면 지속 성장에 '물음표'
1차 경기 논쟁의 꽃은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의 ‘수직 절벽형’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한 ‘로켓 수직 발사형’이다. 지난 2월 중순 이후 세계 증시가 한순간에 무너지는 상황에서 루비니 교수는 세계 경기가 1930년대 대공황보다 더 어려울 것이라는 ‘극단적인 비관론’을 제시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발사 후 수직으로 떠오르는 로켓에 비유해 경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할 것이라는 ‘극단적인 낙관론’을 주장했다.
각국 경기는 부양책의 강도와 경제활동 재개 시기에 따라 확실하게 차별화됐다. 가장 강도 높은 부양책을 펴고 가장 빨리 경제활동을 재개한 중국의 경제는 지난 1분기 -6.8%로 추락한 이후 2분기에는 3.2%로 무려 10%포인트가량 높아졌다. ‘V’자형 반등이다. 3분기 성장률도 5%가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부양책을 놓고 실랑이를 벌이고 경제활동 재개 시기가 가장 늦었던 미국 경제는 1분기 -5%로 역성장한 데 이어 2분기엔 -31.4%로 추락했다. 2분기 성장률을 놓고 본다면 1947년 상무부가 분기별 성장률을 발표한 이후 73년 만의 최저 수준이다. 한국 경제도 2분기 성장률이 -3.3%로 외환위기 이후 2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각국의 2분기 성장률 발표가 마무리된 6월 말, 3분기 이후에는 어떻게 될 것인가를 놓고 2차 논쟁이 벌어졌다. 3분기에는 기저 효과 등으로 잠시 회복세를 보이다가 다시 침체한다는 ‘W’자형과, 2분기를 저점으로 회복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U’자형 시각이다. 1차 논쟁 때와 다른 것은 극단적인 비관론과 극단적인 낙관론은 사라졌다는 점이다.
2차 논쟁 때 비관론인 ‘W’자형은 코로나19 2차 대감염이 발생하더라도 학습효과로 1차 대감염 때보다 당황하지 않고, 마스크 착용과 거리 두기 등이 일상화된 데다 경제 재봉쇄도 쉽지 않은 점을 근거로 들었다. 백신 개발 시기가 다가왔다는 점은 또 다른 이유다. 경제활동이 재봉쇄된다고 하더라도 각국 중앙은행이 모든 것을 다 풀어놓은 상황이기 때문에 1차 대감염 때보다 완충능력이 확보된 상태다. 1차 대감염 이후 주가가 크게 오른 것에 따른 ‘자산 효과’도 기대돼 ‘W’자형의 두 번째 저점은 첫 번째 저점보다 높게 형성될 것으로 내다봤다.
중요한 것은 자산 효과에 따라 경기가 회복세를 보인다고 하더라도 고용 창출이 안 될 경우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이 마련될 수 있느냐를 놓고 9월 Fed 회의 이후 3차 경기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은 격리 후 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반사 효과로 실업률이 4월 14.7%에서 지난달에는 7.9%로 떨어졌지만 앞으로 개선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3차 논쟁은 1차, 2차 논쟁처럼 ‘비관론’과 ‘낙관론’으로 대립되진 않지만 1990년대 신경제 시대보다 ‘더 거친 고용 창출 없는 경기 회복’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와 고용사정이 코로나19 사태 이전으로 돌아가기는 어렵다는 데 의견이 수렴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scha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