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나라의 방역 승부는 싱겁게 끝났다. 중국 내 발병이 급증했던 시기는 1월 말부터 2월 초뿐이었다. 강력한 사회 통제를 바탕으로 확진자가 급격히 감소했다. 전 세계 코로나 확진자 수가 4200만 명을 넘었지만 중국의 누적 감염자는 8만5000여 명에 불과하다.
반면 미국에선 여전히 하루에 5만~6만 명의 환자가 쏟아지고 있다. 누적 기준으로 세계 최대다.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시기(3월 13일)가 늦기도 했지만 통제를 거부하는 사회 분위기 탓도 있을 것이다.
이런 방역의 차이는 G2(주요 2개국) 경제 성적표를 극단으로 갈라놨다. 올 1분기에 -6.8%로 잠깐 뒷걸음질 쳤던 중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2분기 3.2%에 이어 3분기 4.9%를 기록했다. 거의 모든 국가가 코로나 충격 속에서 역성장 중이지만 중국은 나홀로 ‘V자’ 반등을 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세계 성장률이 -4.4%로 후퇴하겠지만 중국은 1.9% 신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성적표는 정반대다. 미국은 전례 없는 규모로 달러를 풀고 있으나 ‘U자’ 회복은커녕 장기 침체를 걱정하고 있다. 대선을 앞두고 궁지에 몰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하루가 멀다하고 ‘중국 바이러스’를 탓하는 이유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취임 직후부터 중국을 지속적으로 압박해 왔다. 공산당이 자국 기술을 탈취하고 미국인 정보를 몰래 빼내간다고 주장했다.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바로잡겠다며 관세 전쟁의 포문을 열었다. 작년부터는 통신장비업체 화웨이는 물론 바이트댄스(틱톡), 텐센트홀딩스(위챗) 등 중국 굴지의 기업을 직접 제재하고 있다.
미·중 충돌은 내년에 미국 대통령이 바뀌더라도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중국의 급부상에 위기감을 느끼는 미국인이 워낙 많아서다. 미 여론조사 기관인 퓨리서치센터가 최근 자국인 10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봤더니, 응답자의 73%가 중국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기저엔 코로나 대유행의 원인 제공자인 중국이 ‘코로나 시대의 승자’ 모습을 보이는 것을 불편해하는 심리도 있는 것 같다.
최근 공개된 투자은행 UBS의 미래 예측은 더욱 충격적이다. 중국의 내년 GDP가 15조8000억달러로, 미국(21조2000억달러) 대비 75%까지 늘어날 것으로 봤다.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8년만 해도 중국 GDP는 미국의 31%에 불과했다. 이 추세대로라면 10년 후인 2030년 중국 경제가 미국을 제칠 것으로 예측됐다.
그래서인지 미국의 일부 투자자는 중국 성장에 베팅하고 있다. 세계 최대 사모펀드를 운용하는 스티븐 슈워츠먼 블랙스톤 회장은 지난달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계속 성장할 것이기 때문에 중국 투자를 줄일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억만장자 투자자인 레이 달리오 브리지워터 회장은 밀컨 콘퍼런스에 나와 “중국의 성장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라며 “미·중 갈등으로 달러화 가치만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중국이 코로나 초기 방역에 성공해 ‘나홀로’ 반등했지만 코로나 이후에도 경제강국으로 지속성장할지는 의문이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이끄는 중국의 통치 체제와 이념은 글로벌 경제 번영의 토대인 자유민주주의·시장경제 원칙과는 너무 동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자유무역·개방성·인권 등에서는 후진국 수준이다. 이웃나라에 대한 ‘완력’도 서슴없이 저지른다. 이번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조 바이든 후보 모두 중국에 대한 견제와 압박을 지속하겠다고 예고한 이유다.
미국은 중국에 집중된 글로벌 공급망을 재편하기 위해 ‘반중(反中) 경제블록’인 경제번영네트워크(ENP) 구축을 추진 중이다. ‘반(反)화웨이’ 전선에는 영국을 비롯해 유럽 국가들도 속속 동참하고 있다. 미국은 또 일본·호주·인도와 함께 안보회의체인 ‘쿼드(Quad)’를 출범시켰고 인도·태평양 지역의 다자안보동맹으로 발전시키려 구상하고 있다. 중국 경제가 당면한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이다.
세계적으로 위안화 결제 비중은 매우 낮은 게 현실이다. 지난 8월 기준 1.9%에 불과했다. 반면 달러 비중은 39%였다. 각국 중앙은행 자산의 62%도 달러 표시다. 하지만 중국은 세계 20여 개국에 위안화 청산은행을 지정하고, 각국 간 통화 스와프를 확대하는 등 위안화 국제화를 서두르고 있다.
디지털 화폐 발행은 더욱 상징적인 계기가 될 전망이다. 미국이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사이 중국은 최근 선전시에서 디지털 위안화를 성공적으로 실험했다. 인민은행은 세계 최초로 디지털 화폐를 내놓는 것은 물론 국제 무역에도 폭넓게 활용하겠다는 구상이다.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최근 보고서에서 “위안화가 10년 안에 엔화를 밀어내고 달러·유로화에 이어 3대 기축통화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위안화가 국제 무역에서 달러 대체 수단으로 활용될 것이란 얘기다. 스티븐 배넌 전 미국 백악관 수석전략가는 “국제 통화를 놓고 미 ·중 간 열전(hot war)이 진행 중”이라고 지적했다. 소리 없는 화폐 전쟁이 이미 시작됐다는 의미다.
road@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