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문제에 당면할 때 중요한 것은 물론 적당한 시간 내에 적절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다. 그러나 너무 서둘러 해결책을 찾는 것보다 문제를 완벽하게 이해하는 데 충분한 시간을 쓰는 게 더 중요할 수도 있다. 조급한 마음에 문제를 대충 파악하고 해결책만 찾는다면 잘못된 결론을 도출할 가능성이 꽤 높기 때문이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내 일생을 바꿀 만큼 중요한 문제를 내고 푸는 데 한 시간이 주어졌다면, 문제를 내는 데 55분을 쓰겠다”고 말한 적이 있다. 워낙 천재여서 아무리 어려운 문제라도 푸는 데 5분밖에 안 걸렸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제대로 된 문제를 내야 좋은 해결책이 담보될 수 있다는 것이 본래의 의미일 것이다.
어느 일에 지나치게 몰입하다 보면 생각이 폐쇄적으로 변해 일을 해결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사항 가운데 모르는 것이 있다는 사실조차 망각할 수도 있다. 한 뼘의 여유로 폐쇄성에서 벗어나야 한다. 유발 하라리는 《사피엔스》에서 코르테스와 피사로가 불과 수백의 군사로 수십만 인구의 잉카·마야 문명을 정복할 수 있었던 것은 군사력의 격차가 아니었다고 지적한다. 잉카·마야 문명의 폐쇄성이 근본 원인이었다. 주변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무관심, 모든 지식을 이미 다 알고 있으므로 새롭게 알아야 할 지식은 없다고 생각하는 폐쇄성이 몰락의 근본 원인이었다는 것이다.
나의 무지를 인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라리는 근대 역사를 결정짓는 가장 큰 동인인 과학혁명이 ‘우리는 모른다’는 것을 인지하면서 시작됐다고 말한다. 무지를 스스로 알고 새 지식을 갈망하는 것이 역사 발전의 동인이며 이것이 지역별 문명 발달의 정도를 규정했다는 의미다. 《도덕경》에도 성스러운 체, 아는 체를 그만두면 이로움이 100배는 더할 것인데,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나 중심의 생각을 적게 하고 욕심을 줄여야 한다고 나와 있다.
아무 생각 없이 쳇바퀴만 열심히 돌리는 다람쥐는 한 걸음만 옆으로 비켜서면 정말로 앞으로 전진할 기회가 있다는 사실을 모른다. 한 뼘의 여유가 성패를 가르는 근본 요인이 될 수 있다. 지금 문득 베토벤의 첼로 소나타를 다시 한번 듣고 싶다. 자크린느 뒤프레가 연주한 것으로.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