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녕의 1500년 전 비화(非火)가야 지배자 무덤에서 금동관을 비롯한 다량의 장신구가 착용한 상태 그대로 출토됐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28일 “창녕 교동·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의 63호분에서 비화가야 지배자의 꾸밈 유물인 금동관을 비롯한 장신구 일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비화가야는 고대 6가야 중 창녕을 거점으로 삼은 세력이다. 목마산과 화왕산 기슭에 조성된 교동·송현동 고분군은 비화가야 최고 지배층 묘역이다. 5세기 후반~6세기 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63호분은 교동·송현동 고분군의 무덤 250여 기 가운데 유일하게 도굴 흔적이 없는 것으로 일찍부터 주목받아 왔다.
이번에 확인된 유물은 높이 21.5㎝의 금동관을 비롯해 관에서 늘어뜨린 금동 드리개와 금동 막대장식, 금으로 만든 굵은고리 귀걸이 1쌍, 유리구슬 목걸이, 은반지와 은제 허리띠 등 무덤 주인의 몸에 둘렀던 장신구 일체다. 신발만 발견되지 않았을 뿐 지난달 경북 경주 황남동 신라 고분에서 출토돼 화제가 됐던 장신구 일체와 비슷한 구성이다.
피장자 머리 부분에서는 금동관이, 양쪽 귀 부분에서는 금귀걸이 1쌍이 확인됐다. 목과 가슴에는 남색 유리구슬을 3~4줄로 엮어 만든 구슬목걸이가, 허리에는 은허리띠가 둘러졌다. 손 부분에서는 은반지들이 확인됐다. 금동관은 맨 아래에 너비 3㎝가량의 관테(머리에 관을 쓸 수 있도록 둥글게 만든 띠)를 두르고, 그 위에 3단으로 이뤄진 3개의 나뭇가지 모양 장식을 세운 형태다. 세움 장식 밑면에는 관모(모자)로 추정되는 직물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국내에서 나온 금동관 가운데 머리에 씌운 직물의 흔적을 확인한 것은 처음이라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이 연구소의 양숙자 학예실장은 “굵은고리귀걸이가 발견되고, 큰 칼을 차지 않은 것으로 볼 때 무덤의 주인은 여성일 가능성이 크다”며 “발견된 꺾쇠 위치로 관의 크기를 추정했을 때 키는 155㎝ 정도였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63호분의 석곽은 길이 640㎝, 너비 130㎝, 깊이 190㎝ 규모다. 피장자의 머리가 남쪽을 향해 있다. 피장자의 머리 위쪽에는 토기와 철제유물들이 묻힌 부장 공간이 있고, 발치 아래에는 바닥을 약 40㎝ 낮춘 길이 220㎝, 너비 130㎝의 순장 공간이 확인됐다. 2명의 순장자가 안치된 것으로 추정되며, 순장자의 것으로 보이는 치아 일부와 다리뼈 일부, 금동제 가는고리, 항아리, 쇠도끼, 쇠낫 등도 나왔다. 피장자 주변에서 목질의 흔적과 꺽쇠들이 확인된 것으로 봐 상자형 목관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소는 이번 발굴이 일제강점기 이후 자행된 약탈과 도굴로 인해 전모를 알 수 없었던 비화가야 무덤의 축조 기법과 장송의례, 비화가야의 성격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했다.
서화동 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