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홍대 앞 서교동, 합정동, 동교동, 연남동 일대에는 중소 규모 공연장들이 모여 있다. 그 숫자만 85곳에 이른다. 1990년대 인디 음악의 발원지이자 대중문화 생태계를 이끌어 온 공연장들이다. 이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하나둘씩 문닫고 있다. V홀, 무브홀, BGBD(옛 드럭), 퀸라이브홀, 라이브와이어, KT&G 상상마당, 베짱이홀…. 올해 문을 닫았거나 운영 중단 상태인 홍대 앞 공연장들이다. 연말까지 더 많은 곳이 폐업 신고를 할 예정이다.
이들을 벼랑 끝으로 밀고 있는 게 또 있다. 지난 4일 개관한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다. 서울시가 만든 ‘반값 공연장’이다. 3일 홍대 앞 공연장 운영 관계자들은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 개관을 하루 앞두고 개관 취소를 요구하는 긴급 회담을 열었다.
홍대 민간 공연장 관계자들이 서울생활문화센터 개관을 반대한 데는 이유가 있다. 서울시는 개관 전 시설 이용 대상을 일반인들로 한정했다. 일반인들이 대관비 부담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공연을 무대에 올릴 수 있게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했다. 그러다 개관을 앞두고 돌연 “상업 공연도 올릴 수 있다”는 것으로 태도를 바꿨다. 일반인의 동아리 활동뿐만 아니라 기성 가수와 프로 밴드들도 이 시설을 활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가격도 싸다. 홍대 인근 공연장의 대관 시세는 주말 기준 240만~260만원 선이다. 무브홀, 브이홀 등 중견급 이상의 공연장은 280만~500만원 선이다.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는 주말 120만~최대 220만원으로 책정돼 있다. 대학 동아리 등은 50% 할인된 가격에 제공한다는 정책도 내걸었다.
그러나 서울시는 “생활문화센터 조성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설치 계획이 완료돼 있던 것이고 문화센터에 있는 공연장은 ‘서교스퀘어’ 하나에 불과하다”면서 “공공성, 주민자치 성격을 띤 단체 공연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상업적 목적은 아니다”고 반박했다. 또 “청년 예술가들에게 저렴하게 연습실과 강의실을 이용하게 하는 것은 생태계 파괴가 아니다”고 말했다.
현재 홍대공연장 연합은 대중음악 공연이 아닌 미술, 연극, 무용 등 다른 장르의 문화예술 전용 공연장으로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에 대해 “공연장 관계자들과 충분한 추후 협의를 거쳐 합의점을 찾아가겠다”고 설명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