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이미 악화일로인 청년 실업은 더 이상 헤어날 수 없는 ‘절망’의 늪으로 빠질 수밖에 없다. 졸업 후 미취업 청년이 166만 명(5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이고, 청년 체감실업률은 25.4%(9월)에 이른다. 코로나가 본격화한 지난 4월 청년층(15~39세) 일자리가 42만 개 날아갔고, 재확산된 9월엔 50만 개가 증발했다.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지난달 전 연령대에 걸쳐 늘어났지만, 30대는 되레 5만4000명 줄었다. 3000명 늘어난 29세 이하 통계도 한국판 뉴딜로 ‘디지털 알바’를 늘린 영향일 뿐, 제대로 된 일자리 증가로 보기 어렵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여당은 노동시장의 경직성만 강화할 법안들을 쏟아내고 있다. 이는 대기업·공기업 중심인 ‘노동귀족’의 기득권과 노조의 입지만 강화하는 결과를 낳을 게 뻔하다는 점에서 결국 친(親)노조·친기득권 법안일 뿐이다. 똘똘 뭉친 10%의 노동계 표를 의식해 일자리가 절실한 청년 등 나머지 90%를 희생시키고 있는 건 아닌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청년들은 심지어 ‘불합격 통지서라도 받아보고 싶다’고 하소연한다. 그런데도 정부는 땜질식 공공 알바를 늘려 고용통계를 분식(粉飾)하는 것으로 일관하고 있다. 노동시장이 경직될수록 그 피해가 청년과 노동약자들에게 돌아간다는 사실을 정녕 모르는 것인가, 아니면 알고도 못 본 척하는 것인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