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1년 전이다. 집에서 주방을 없애는 ‘키친 클로징’이 유행했다. 공유 주방과 밀키트, 배달 음식 시장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생겨난 현상이었다. 더 이상 집에서 요리할 필요가 없는 시대가 왔다는 분석이 나왔다. 값비싼 주방 기기를 찾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도 제기됐다. ‘여성을 부엌에서 해방시킨다’는 시대정신을 들먹이기까지 했다.
건축 인테리어 회사들은 재빠르게 부엌을 없애고 그 자리에 가족이 함께 음악과 책을 즐길 수 있는 북카페를 만들었다. 주방의 소멸은 요리하는 사람, 곧 엄마의 부재를 뜻했다. 때마침 (생존의 위협을 느낀) 은퇴한 중장년 아버지들을 겨냥해 전국 주민센터마다 ‘아빠 요리교실’이 우후죽순처럼 생겼다.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다. 미국에선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전체 인구의 35~40%가 ‘집밥’을 처음으로 해 먹기 시작했다. ‘스트레스 베이킹’ ‘쿼런틴 베이킹(자가격리 중 홈베이킹)’의 해시태그를 단 SNS 게시물도 수십만 건에 이른다. 일본에선 한여름에 크리스마스 시즌보다 더 많은 양의 버터가 팔리는 등 제빵 재료의 ‘품귀 현상’도 빚었다. 중국의 주요 쇼핑 채널에선 올 들어 스낵과 가공식품 매출이 20% 이상 떨어진 반면 신선식품 매출은 70% 이상 늘었다. 매출이 수년째 급락하던 가정용 음식 보관용기 회사 타파웨어의 실적도 화제다. 올 들어 뜻밖에 반전 드라마를 쓰면서 주가가 35% 이상 오르기도 했다.
코로나19는 주방의 역할을 다시 정의하고 있다. 전통적인 한국의 부엌은 고립된 공간이었다. 늘 어둡고 연기가 가득했다. 여성의 노동이 전제돼야 기능할 수 있는 곳이었다. 근대적 주거공간인 아파트가 등장한 1960년대까지만 해도 아파트 안에 아궁이가 있었다. 현관에서 바로 부엌을 거쳐야 집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설계된 곳도 많았다. 1980년대와 1990년대를 거치며 부엌은 거실과 맞닿는 ‘모두의 공간’으로 설계됐지만 실제 주방에서 일하는 사람은 여전히 엄마이자 아내, 여성이었다.
destinybr@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