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3분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사상 처음으로 100%를 넘어선 핵심 원인 중 하나로는 올 들어 부동산 시장에서 포착된 ‘빚투(빚내서 투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이 우선 꼽힌다.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로 집값과 전셋값이 치솟자 가계가 전방위서 빚을 끌어모으려는 움직임을 보인 결과다. 여기에 코로나19로 어려움에 처한 자영업자의 채무마저 급증하면서 급기야 ‘가계부채 비율 세 자릿수 시대’에 진입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부채가 갈수록 과도해져 가계 유동성 위기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번 가계부채 비율은 3분기 가계부채를 올해 예상 GDP로 나눠 산출했다. IIF는 구체적인 수치를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의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올 들어 3분기 평균 환율 등을 고려할 때 IIF는 올해 한국 GDP는 달러화 기준으로 1조5678억달러, 지난 3분기 말 한국 가계부채는 1조5772억달러 안팎으로 추정했을 것으로 금융계는 보고 있다.
이는 치솟은 주택매입 자금과 전셋값을 조달하기 위한 수요가 몰린 결과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 10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2019년 1월 100기준)는 113.1로, 작년 말에 비해 9.9% 뛰었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7.1% 올랐다.
경제학자들은 국내 부동산시장 과열 원인은 유동성이 아닌, 정부 정책 실패 탓으로 봤다. 한국경제학회가 8월 경제학자 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76%는 수도권 집값 급등의 원인으로 부동산 정책 실패를 꼽았다.
여기에 코로나19 사태로 현금창출력이 나빠진 자영업자(개인사업자) 대출도 급증했다. 원재료 구매와 직원 급여, 이자비용을 비롯한 운영자금을 빚으로 충당한 결과다.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올 3월에만 은행권의 자영업자 대출 증가폭은 3조8000억원으로 월간 기준 사상 최대였다.
일부 가계는 유동성 위기를 겪을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한은은 올 상반기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올해 실업률이 사상 최악이었던 외환위기 수준(일용직 실업률 전년 대비 12.3%포인트 상승)으로 치솟는 상황이 지속되면 올해 47만3000~75만9000가구가 유동성 위기에 직면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