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탈(脫)탄소화에 시동을 걸었다. 세계적으로 환경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미국과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세’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생존을 위해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이다. 국내 기업 중 탄소배출량이 가장 많은 포스코가 ‘넷제로(탄소중립)’를 선언함에 따라 철강·정유·화학 등 다른 기업의 동참도 뒤따를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기업 비용 부담이 커지고 수출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중에서도 철강산업은 탄소국경세가 도입되면 가장 먼저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국경세는 EU가 2023년 도입을 추진 중인 새로운 관세 형태다. 자국 수출기업이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발생한 비용은 보조금으로 지원해주고, 탄소배출량이 많은 다른 나라 수입기업에는 부담금을 추가로 물리는 내용이 골자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이를 참고해 탄소 배출이 많은 국가나 기업 제품에 추가 관세를 물리는 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부터 강화되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철강업계를 옥죄고 있다. 기업마다 정부가 할당한 배출량 이상으로 탄소를 배출할 경우 다른 업체의 탄소배출권을 대신 구매하는데 이 경우 배출권 구매 비용이 탄소배출부채로 집계된다. 작년 배출부채 규모는 현대제철이 1143억원으로, 국내 기업 중 가장 많았다. 작년 영업이익 3313억원의 3분의 1에 달하는 규모다. 2위인 포스코도 509억원을 썼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원료인 석탄을 대체하지 않는 이상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철강 1t을 생산하는 데 평균 1.85t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정부가 제시한 ‘수소환원 제철공법’이나 고로를 ‘전기로’로 전환하는 방안도 당장 적용하기는 어렵다. 한 철강업체 관계자는 “석탄 대신 수소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방법은 아직 연구단계에 머물러 있다”며 “전기로 방식으로는 고품질의 자동차용 강판을 대량생산하기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현재 기술 수준을 감안하면 포스코의 탄소중립은 선언적 의미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친환경 설비투자에 들어가는 비용도 부담이다. 산업연구원은 국내 철강 정유화학 시멘트 등 3개 업종에서만 탄소중립 비용으로 2050년까지 최소 400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중국과의 경쟁 격화로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는 국내 업체들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액수다.
전문가들은 포스코가 탈탄소에 성공하려면 기술과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철강산업의 경쟁력 약화는 자동차 조선 산업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준 에너지경제원구원 기후변화연구팀장은 “철강업계에 수소에너지 등 에너지 공급체계를 우선 배정하고 연구개발(R&D)과 수출 판로를 지원하는 등의 정책 패키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