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사장 A씨는 올해 멤버십 골프회원권을 산 뒤 속앓이를 했다. 5000만원 수준의 입회비만 내면 제휴 골프장에서 정회원 대우를 받을 수 있다는 업체의 말을 믿은 것이 화근이었다. 그는 “회원권만 믿고 있다가 거래처와의 골프 약속이 틀어지는 등 피해가 여간 큰 것이 아니다”며 “환불 기간이 지나 입회금을 돌려줄 수 없다니 답답할 따름”이라고 하소연했다.
20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까지 골프회원권 관련 소비자 민원 건수는 969건을 기록했다. 지난해 전체 민원 건수(789건)를 22%나 넘어선 수치다. 경기 용인에 있는 회원제 골프장의 주중 무기명 회원권을 보유한 B씨는 “골프장 측이 매달 한 번 전화로 예약받는데, 예약이 시작되자마자 통화 자체가 안 된다”며 “20분쯤 지나 겨우 예약팀과 연결이 닿아도 팀이 꽉 차서 예약이 안 된다는 말만 늘어놓는다”고 말했다. 이어 “비싼 그린피를 내는 비회원을 받으려고 골프장이 회원을 홀대하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고 말했다.
대중제 골프장들이 발행한 선불카드에 대한 불만도 이어졌다. 선납한 금액을 다 쓰지 못했는데도 기간 만료를 이유로 카드 사용을 막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중견기업 재무부장 C씨는 “골프장 측이 부킹 대란을 핑계로 예약을 안 해줘서 돈을 다 못 쓴 것”이라며 “코로나19라는 특수상황을 고려해 기간 연장 등을 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되물었다.
당국도 회원권 시장을 바로잡기 위해 나섰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달 초 전국 481개 골프장을 조사해 대중제 골프장 편법 운영 사례를 11건 적발했다. 대중제 골프장은 회원을 모집할 수 없는데도 골프장을 우선 이용하거나 유리한 조건으로 이용하게 하는 유사회원제 방식으로 고객을 모집한 사례가 적발됐다. 이들은 선불카드 이용자에게 예약 우선권을 주는 등의 불법 영업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문체부 관계자는 “향후 지방자치단체와 지속적으로 골프장 운영 실태를 점검해 회원권 등 편법 운영에 대해 엄중히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순신 기자 soonsin2@hankyung.com
관련뉴스